03290306_P_0.jpg

▲소말리아 해역 파병 '문무대왕함'

 

군함의 구분은 작전 기능에 따라 분류하고 있습니다. 우리가 흔히 아는 전투함을 비롯해서 군수지원함(천지함), 상륙함, 소해정, 기뢰부설정, 고속정....등 기능에 따라 여러가지로 분류됩니다.

 

이중에서 전투함은 흔히 그 배수량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1.전함

전함은 다수의대구경포와 엄청난 장갑방어력으로 포격전을 주도했단 19세기의 주력함입니다.

배수량은 보통 3만 5천톤급으로 세계 최대의 전함인 야마토의 경우 약 6만 4천톤입니다. 전함은 19세기 당시의 국력을 상징할 정도로 엄청났습니다.특히 러일전쟁이후 등장한 30cm단일 구경 주포를 장착한 드레느노트에 의해 거함거포의 시대가 열렸습니다. 하지만 2차 세계대전중 항공기의 등장으로 인해 함대의 중심을 항공모함에 넘겨주었으며 일본의 야마토와 자매함 무사시 역시 항공기의 집중 폭격으로 침몰함으로써 거함 거포 시대는 막을 내립니다.

현재는 전함을 건조하지 않고 있습니다.

 

2.순양함

순양함은 배수량 1만톤 정도의 군함입니다.

미국 순양함의 경우 대규모 항공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이지스 시스템과 다량의 대공미사일을 탑재하고 있으며, 대잠전과 대함전을 수행하는 기본적인 능력도 갖추고 있습니다. 임무는 주로 함대방어의 중심이며 여러 작전의 기함 역할을 수행합니다.미국의 대표적 순양함 타이콘데로가는 이지스 시스템을 탑재한 최초의 이지스함입니다.

 

위에 이지스와 구축함을 헛갈려 하시는데 이지스는 고대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방패의 이름으로 냉전당시 구소련에 의한 다량의 대함미사일을 방어하기 위한 전투시스템입니다.

3차원 위상배열 레이더 SPY를 탑재 최고 200개의 목표를 동시 추적할 수 있으며 24개의 목표를 동시 공격할 수있는 종합전투시스템입니다.

본래는 순양함에 탑재하였으나 구축함에도 탑재 가능하게 연구하여 1991년 DDG-51 알레이 버크호가 구축함용 이지스 시스템을 탑재한 첫 이지스 구축함으로 건조되었습니다.

 

3.구축함

배수량 5000~10000톤급 사이의 군함입니다.

구축함은 원래 1차세계대전 당시 잠수함과 어뢰 공격에 대응하고 신속하게 이동 적을 교란 공격하기 위한 목적으로 만들어졌습니다.

또한 항공기와 잠수함으로부터 아군 함정과 선단을 보호하고, 기뢰부설, 초계, 수송, 포격등의 임무를 수행하였습니다.

현재는 주로 함대의 대공, 대잠 방어 임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현재 우리나라의 구축함은 KD-1인 광개토대왕, 을지문덕, 양만춘함이 있으며 KD-2로 이순신, 문무대왕, 대조영은 이미 진수되어 전력화 되었고, 왕건함은 테스트 중, 강감찬과 최영함은 진수되어 건조중입니다.

 

4. 호위함

배수량 1500톤에서 3000톤의 전투함을 말합니다.

개중에는 4000톤이 넘어가는 전투함도 호위함이라 하지만 일반적으로는 1500~3000톤을 일컬습니다.

우리나라의 울산함을 호위함이라 칭하고 있으며 현재 노후화된 울산함을 대체하기 위해 차기 호위함 FFX의 사업을 추진중에 있습니다.

우리나라 연안 전력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5. 초계함

수상전투함대의 제한적인 초계 임무수행이 가능하고, 일부 공격 무기체계를 장착하고 있으며, 호위함과 크기와 능력면에서 비슷한 것으로 보이나, 무기체계 및 탑재장비 등에서 차이점이 있으며, 400톤~1,500톤의 함정을 말하고 있습니다.

즉, 호위함에 비해 열세인 대잠및 대함전 능력을 갖추고 연안에서 초계 임무를 수행하는 1000톤 내외의 전투함입니다.

함포와 함대함 미사일을 주무장으로 하며 함대공 미사일을 장착할 수 있습니다.

또한 어뢰발사관을 장착하고 있는등 그 크기에 비해 강력한 무장을 하고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동해급과 포항급이 초계함이라 할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처럼 중소형 해군국및 방어적 해양전력을 가지고 있는 나라에서 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포항급의 경우 대함용 무장을 장착한 후기형과 대잠전을 특화시킨 중기형이 있습니다.

초기형은 사정거리가 짧은 액조세를 탑재하고 있습니다.

 

6.고속정

연.근해용으로 200∼250톤, 연안용으로 500톤 정도의 규모입니다.
고속정은 속도가 우선이며, 가장 보편적인 최고속도는 30노트∼40노트이나, 50노트 이상도 있습니다.
현재 우리나라의 고속정은 참수리급으로 역시 대체 사업인 PKX가 추진중에 있습니다.

유도탄정 외에도 대잠정, 초계정, 함포정 및 어뢰정 등으로 다양한 유형이 존재하며 우리나라 연안전력에서 포항급과 함께 최일선에서 운용중입니다.

 

다음은 항공모함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항공모함은 제2차 세계대전중 등장한 군함입니다.

항공기의 중요성과 유도 무기및 미사일의 발달로 크기만 큰 전함이 쇠퇴하고 그 자리를 항공기를 운용할 수 있는 항모가 함대의 핵심전력으로 자리잡습니다.

 

흔히 전투기와 군함의 전투는 전투기의 우세로 이루어집니다. 공대함 미사일의 사정거리가 120~150km에 달하고 공중에서의 위치에너지가 운동에너지로 바뀌면서 사정거리의 증가가 가능합니다. 하지만 군함에서의 대공미사일의 사정거리는 40km가 되지 않죠. 때문에 주로 공격을 방어하다가 끝날수 있습니다.그래서 전투기는 전투기로 대응하는 겁니다.

 

또한 항공모함은 혼자 움직이지 않습니다.

일단 미국형 항공모함의 경우 무장이 빈약하여 대잠전, 대함전, 대공전 모든 전투 분야에서 대응할 수 없습니다.

때문에 다른 군함의 호위가 필요한겁니다. 이런 항모전단은 항공기에 의한 초수평선 작전이 가능하고 지상 공격도 가능하기에 전력무기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함장의 경우 대부분의 구축함 함장, 울산급 호위함의 함장은 대령급으로 알고 있습니다.

초계함의 경우는 중령입니다.

KD-1의경우 해역함대기함인데 이때는 함대사령관이 탑승해있을수도 있습니다.

 

해군의 편제

 

 해군 작전부대의 하나인 작전사령부는 사령부-함대-전단/방어사-전대-편대 등으로 구성됩니다.

전단은 함대 직할의 전투 혹은 방어 전단과 작전사령부 직할의 성분/항공/정비/잠수함 전단이 있습니다.

전대는 함대나 전단 아래에 있는 실질적인 작전 부대입니다. 편대는 2~3척 묶어서 작전하는 고속정과 같은 소형 함정들의 집단입니다. 전대는 대형함정이나 잠수함의 경우3~5척만 있어도 편대를 거치지 않고 전대로 구성됩니다.

 

1함대(동해),2함대(평택),3함대(부산)으로 함대가 구성되면 예하에 각각 1,2,3전투전단이 있으며, 2함대 예하의 인천특정경비해역방어사령부, 3함대의 목포해역방어사령부와 제주해역방어 사령부가 있습니다.

함대는 소장급이 운영하며 전단과 방어 사령부는 준장급이

주력함정은 KD-1을 기함으로 하여 울산급과 포항급이있습니다. 

또한 작전사령부 예하의 5성분전단의 51대잠전대는 따로 기동전단으로 개편 KD-2와 KDX-3가 소속될것입다.

우리나라의 가장 강력한 해군부대일 것입니다.

또한 해군은 6항공전단과 진해기지사령부인 7기지전단(해군직할), 8전비전단, 9잠수함전단의 예하 전단이 있으며 후에 9잠수전단은 잠수함 사령부로 개편됩니다.

또한 5성분전단의 56특수전전대가 2000년 해군특수전여단으로 개편되었습니다.

 

출처: NAVER 지식인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24 자유 방위산업 전시회 2011 imagefile sano2 2011-05-11 33915
23 지상 일명 ‘정우성 총?!’ 아테네에 등장한 K-11 복합소총 imagefile 김보근 2011-01-20 81830
22 학술 2010 국방백서 imagefile 김보근 2011-01-18 48611
21 학술 한반도 군비통제자료집 - 국방부 imagefile 김보근 2011-01-18 41553
20 지상 맹호들의 포효 imagefile 김보근 2011-01-18 48500
19 지상 국방부 특수기록관 운영 및 기록물 보안 · 재난관리 예규 imagefile 김보근 2011-01-18 22014
18 지상 SCM 한미간 국방협력지침 file 김보근 2011-01-18 21519
17 지상 2011년부터 달라지는 국방업무 imagefile 김보근 2011-01-18 26258
16 자유 China 'would accept' Korean reunification tree21 2011-01-18 89915
15 자유 비무기체계 발전 세미나 자료 imagefile 김보근 2011-01-18 55292
14 학술 2010년도 방위사업청 통계연보 imagefile 김보근 2011-01-18 35733
13 학술 국방현안 모니터링시스템 활용방안 imagefile 김보근 2011-01-18 28799
12 학술 미국의 군사조치 사용여부 및 효과성 분석 imagefile 김보근 2011-01-18 30314
» 해상 군함의 종류와 해군의 편제 imagefile nagneyoon 2011-01-17 59380
10 지상 ‘블랙호크 UH-60’ 훈련현장 image yukky666 2011-01-17 68240
9 해상 세계 4대 해전 : 그 첫번째 이야기 - 살라미스 해전 image yukky666 2011-01-17 67256
8 자유 공감, 커뮤니케이션 대상 imagefile yukky666 2011-01-17 37145
7 자유 각 군의 '천안함' 홈페이지 imagefile yukky666 2011-01-17 27824
6 해상 대한민국 해군 전투 함 구분 image nagneyoon 2011-01-17 56663
5 공중 중국 스텔스 전투기 'J-20' 이랍니다~ imagemoviefile p4kjy 2011-01-17 39921

기획 특집|전망과 분석

R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