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아세안경제 공동체(AEC) 출범 배경과 의미
2015. 12. 11
<기획> 아세안경제공동체 출범과 미중일의 패권적 경쟁 2015년 12월 31일 아세안경제공동체(AEC: ASEAN Economic Community)가 출범한다. 이미 예견돼 있는 것이었지만 2007년에 AEC 청사진을 발표한 지 8년 만이다. 경제규모를 보면...
-
중국의 개혁이 향하는 곳
2015. 12. 02
중국 시진핑 지도부의 개혁조처와 중국 경제의 과제 -서비스업 비중 증가와 국내 소비수요의 GDP 증가율 확대의 경제 재편 -기업 경영 효율 배가 및 과잉설비 해소 기업통합 금융지주회사 등 구조조정 -환율변동폭 확대 위안회 ...
-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의 쟁점과 전략
2015. 11. 30
2015년 10월 5일 미국과 일본 등 12개국은 세계 경제의 40%를 차지하는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rans-Pacific Partnership: TPP)을 출범시키기로 합의하는 데 마침내 성공하였다. 2008년 1월 오바마 정부가 협상에 참여한 지 7년, 2013년 ...
-
대북 사업 북방 자원개발 유지 받들 기업들 사라질 위기
| 2015. 11. 25
정주영 탄생 100년과 또 다시 꺾인 북방경제의 꿈 2015년 11월25일 고 정주영 현대그룹 명예 회장의 탄생 100년을 맞아 그를 기억하는 여러 행사들이 열리고 있다. 그를 기억하는 이들은 아직 많다. 그러나 금강산 대북사업은 ...
-
중국식 '보편주의' 꿈꾸는 중국의 야망
2015. 11. 23
중국식 '보편주의' 꿈꾸는 중국의 야망 여의주를 앞발로 누르는 자금성의 해태상 중국이 눈부신 발전과 더불어 세계적인 경제대국으로 자리매김하는 듯하다. 이러한 가운데, 사람들은 중국이 주장하는 보편성과 새로운 세계...
-
2015 한겨레-부산 국제심포지엄 3.
| 2015. 11. 22
2015 한겨레 부산 국제심포지엄 1. 2015 한겨레-부산 국제심포지엄 ‘미-일 동맹 신시대 동아시아 평화질서와 한반도’ 2. 동아시아 평화 중국이 묻고 일본이 답하다. 3. 러시아의 해양정책-베링해 남쿠릴열도서 미일과의 분쟁 격화 가능...
-
2015 한겨레-부산 국제심포지엄 1.
| 2015. 11. 22
2015 한겨레 부산 국제심포지엄 1. 2015 한겨레-부산 국제심포지엄 ‘미-일 동맹 신시대 동아시아 평화질서와 한반도’ 2. 동아시아 평화 중국이 묻고 일본이 답하다. 3. 러시아의 해양정책-베링해 남쿠릴열도서 미일과의 분쟁 격화...
-
2015 한겨레-부산 국제심포지엄 2.
| 2015. 11. 22
2015 한겨레 부산 국제심포지엄 1. 2015 한겨레-부산 국제심포지엄 ‘미-일 동맹 신시대 동아시아 평화질서와 한반도’ 2. 동아시아 평화 중국이 묻고 일본이 답하다. 3. 러시아의 해양정책-베링해 남쿠릴열도서 미일과의 분쟁 격화...
-
미국의 아시아 중시전략과 오스트레일리아
2015. 11. 16
미국 대통령이 태평양에 대한 군사력 강화, 이른바 아시아로의 ‘중시’ 정책을 발표한 것은 2011년 오스트레일리아 의회에서였다. 이후 미국과 오스트레일리아 정부는 동맹관계를 더욱 강화했다. 사실상 오스트레일리아 정부는 ...
-
북방의 두거인 중국과 러시아 경제의 향방 거듭된 마이너스 성장에 직면한 러시아
2015. 11. 10
국제 저유가 기조와 2014년 말 촉발된 루블화 폭락(미 달러화 환율이 32루블에서 64루블로 급락)으로 2015년은 -3% 미만의 성장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풍부한 천연자원과 인적자원, 광활한 영토. 러시아를 대표하는 수식어들이다. 그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