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이란핵 특수’…무기판매 수익 사상최고

2012. 08. 28
조회수 13433 추천수 0


위협 느낀 걸프만 국가들 대거 구입
1년새 214억달러→663억달러 껑충
세계시장 78% 점유…2위 러 14배
중국 팽창 우려도 주변국 구매 자극


이란의 핵위협은 미국이 직면한 가장 큰 대외 과제 중 하나지만, 마냥 골칫거리만은 아닐 듯하다. 중동·북아프리카 지역의 재스민 혁명 이후 미국 영향력의 쇠퇴가 점쳐졌던 것을 떠올리면 이 지역에 대한 영향력을 다시 높일 기회가 된 동시에, 무기 판매라는 짭짤한 수입도 챙겼기 때문이다.


<뉴욕 타임스>는 26일 미 의회도서관 소속의 의회조사서비스(CRS) 보고서를 입수해 미국의 무기판매액이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고 보도했다. 미국의 국외 무기판매는 지난해 663억달러(약 75조원)를 기록해 전세계 무기판매액 853억달러의 77.7%를 기록했다. 2위는 러시아였는데 판매액은 48억달러에 지나지 않는다. 이전 무기판매 최고기록은 2009년에 기록한 310억달러다. 2010년은 214억달러였다.


미국발 금융위기와 유럽발 재정위기 여파로 전세계 무기판매액은 최근 몇년간 상당히 줄었다. 하지만 지난해는 이란의 핵위협이라는 새 변수가 생겼다. 걸프 연안국들은 전투기와 방어미사일 등 비싼 무기들을 집중 구입해 미국 무기판매액 신기록의 ‘일등공신’이 됐다. 사우디아라비아는 지난해 아파치와 블랙호크 헬리콥터, F-15 개량형을 무더기로 구입했다. 사우디의 미국 무기 구매액은 미국 무기 수출액의 절반에 이르는 334억달러에 이른다. 아랍에미리트연합(UAE)은 레이더와 대공방어미사일 등 미국 무기를 사들이는 데 34억9000만달러를 썼다. 오만은 18대의 F-16을 사는 데 14억달러를 썼다.


미국은 이란의 위협에 대비해 원유 생산시설과 수송로를 지키기 위해 아랍 국가들과 공동으로 미사일 방어망을 세우려는 정책을 추진해왔다. 이는 결국 아랍 국가들이 더 많은 레이더와 요격미사일, 또 이를 제어할 통제·통신시스템을 사야 한다는 말이다. 이란의 핵개발 우려가 계속될수록 돈은 엉뚱하게 미국이 벌어갈 공산이 크다.


이란 외에도 중국의 팽창정책에 대한 우려 또한 미국 무기의 훌륭한 세일즈맨이었다. 인도는 C-17 수송기 10대를 41억달러에 샀고, 대만은 요격미사일인 패트리엇 미사일을 20억달러에 샀다.


한편 전세계에서 거래된 무기의 대부분은 개발도상국들이 사들인 것이다. 개발도상국이 지난해 사들인 무기는 모두 715억달러어치다. 그중 79%인 563억달러가 미국 무기를 사는 데 쓰였다. 개발도상국 무기 구입액에서 미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2010년 44%에서 크게 상승했다. 


이형섭 기자 sublee@hani.co.kr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 메일



  • ‘깡통’ F-35 스텔스전투기 정권말 도입은 ‘악몽’ 부를 것‘깡통’ F-35 스텔스전투기 정권말 도입은 ‘악몽’ 부를 것

    김종대 | 2011. 03. 09

      정권 말 정치논리로 스텔스기 도입 추진 중 스텔스 전력화 2015년? ‘깡통 전투기’로 알려진 F-35 스텔스 전투기를 조기에 확보하려는 이명박 정부의 움직임이 긴박하다. 기자를 만난 한나라당 핵심관계자는 “반드시 현 정부 임기 중에 구매 ...

  • 청와대, 미국 무기 로비스트의 안마당 되는가?청와대, 미국 무기 로비스트의 안마당 되는가?

    2011. 02. 22

    청와대, 미국 무기 로비스트의 안마당 되는가? 최근 국정원 직원이 인도네시아 특사단의 숙소에 몰래 들어갔다가 국제적인 문제가 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이 때문에, 국산 고등훈련기(T50)의 인도네시아 수출이 어려워진 것 아니냐는 관측들이 나오고...

  • ‘군사 장비 무게’에 짓눌린 특전사의 전투능력‘군사 장비 무게’에 짓눌린 특전사의 전투능력

    김동규 | 2011. 05. 02

       김동규 디앤디 포커스 기자 ppankku@naver.com   UDT의 개방적 장비도입 절차 “함께 훈련을 받으면서 UDT는 특전사와 분위기가 많이 다르다는 것을 느꼈다. UDT는 매우 개방적이었다. 각 팀에서 아직 군에 보급되지 않은 전술장비를 사용해보고...

  • ‘빈 라덴 사살’ 미군 비밀병기 벗겨보니‘빈 라덴 사살’ 미군 비밀병기 벗겨보니

    박수찬 | 2011. 05. 31

    개량형 UH-60 블랙호크 헬기와 RQ-170 센티널 무인정찰기…모두 스텔스 기능 갖춰지난 5월 2일, 국제 테러조직 알 카에다의 지도자 오사마 빈라덴이 파키스탄 아보타바드에서 미군 특수부대에 의해 사살되었다. 빈라덴의 죽음은 여러 가지 ‘후폭풍’...

  • 첨단 무기 도입에 밀려 보병 전투력은 ‘10년째 제자리’첨단 무기 도입에 밀려 보병 전투력은 ‘10년째 제자리’

    김동규 | 2011. 06. 24

    병력 유지에만 급급한 ‘관리형 군대’, 보병 전투력 향상은 외면 대한민국 군대의 기초인 보병 전투력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국방부가 첨단 장비 위주의 전력 증강에 나섬에 따라 소부대 무기체계와 개인장비는 10년 전과 비교해 달라진 게 ...

기획 특집|전망과 분석

R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