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진타오 ‘업적 쌓기’ 방미…차기권력에 ‘입김’ 포석

박민희 2011. 01. 19
조회수 12632 추천수 0

‘제2의 덩샤오핑’ 되려 미국에 화해 신호
미 언론 “중 권력분산…미와 대타협 난망” 
 

1295351134_00382160701_20110119.JPG

▶ 후진타오 중국 국가주석이 18일 중국을 출발해 세계가 주목하는 미국 방문 일정을 시작했다. 사진은 지난해 11월 후 주석이 G20 정상회의 참석을 위해 서울공항에 도착하는 모습. AP 연합뉴스

 

후진타오 중국 국가주석이 18일 오후(한국시각 19일 오전) 조 바이든 미국 부통령의 공항 영접을 받으며 워싱턴에 도착해 전세계가 주목하는 미국 국빈방문 일정을 시작한다. 후 주석의 방문에는 왕치산 부총리와 다이빙궈 외교담당 국무위원, 양제츠 외교부장, 장칭 국가발전개혁위원회 주임 등 중국 경제·외교의 주요 인물들이 총출동했다. 후 주석은 한국시각으로 19일 자정께 버락 오바마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한다.


이번 방문은 세계 양대 강대국 정상의 만남이라는 국제정치적 의미 외에도, 후 주석 개인에게는 중국의 제4대 지도자로서 역사적인 업적을 남기는 과제와 직결돼 있다. 후 주석은 개혁개방 30년을 맞은 중국이 기존 성장모델의 한계를 극복하고 안정적 성장을 위해 필요한 미중관계의 새로운 틀을 남기려 한다는 분석이다. 2012년 시진핑 부주석에게 권력을 물려줘야 하는 후 주석으로서는 이런 외교적 업적을 통해 차기 지도부 구성에서 자신의 발언권을 강화하려 할 것으로 보인다.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는 이런 ‘후 주석의 업적 남기기’를 위해 중국이 최근 미국에 눈에 띄게 화해 신호를 보내고 있다고 18일 보도했다. 베이징 외교가에서는 지난해 중국과 ‘힘겨루기’를 했던 미국 정부가 최근 중국 지도부 내의 이런 기류를 간파하고, 올들어 잇따라 고위 관리들을 중국에 보내 한반도 문제와 위안화 환율, 무역 문제 등 주요 이슈에서 중국의 양보를 받아내기 위한 외교를 벌여왔다고 분석하고 있다. 특히 중국 내에서 지난해 ‘힘의 외교’를 벌인 결과 외교적으로 득보다 실이 컸다는 기류가 있어, 양국간에 ‘공동 이익’ 부분에서는 타협이 이뤄질 수 있다는 기대가 커지고 있다.

 

하지만 걸림돌도 적지 않다. <뉴욕타임스> 등 미국 언론들은 이번 방문 직전 후 주석이 예전 공산당 지도자들과 달리 절대적인 권력을 행사하지 못하는 ‘중국 공산당 집권 이후 가장 힘 없는 지도자’라면서, 마오쩌둥과 덩샤오핑 시절처럼 미중간에 ‘대타협’을 이룰 가능성이 낮다고 보도했다. 과거와 달리 집단지도체제의 합의로 운영되는 공산당 지도부 안에서 후 주석은 정치국 내 다른 8명의 상무위원들을 의식해야 하는 제한된 권력의 지도자라는 평가다. 특히 점점 강경한 목소리를 내는 군부와 고위 관료, 대기업 경영진들이 자신들의 이익을 위해 다양한 목소리를 내고 있어 중국과 협상하기가 점점 어려워지고 있다는 게 미국의 시각이다.

베이징/박민희 특파원 minggu@hani.co.kr

 

129535174741_20110119.jpg

                                                                                                                                  129535174741_20110110.jpg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 메일



  • 서해5도, 대만 금문도처럼 요새화?서해5도, 대만 금문도처럼 요새화?

    2011. 01. 20

      한겨레 국방 전문 웹진 ‘디펜스21’ 오픈 특집 - ‘연평도 피격 그 후’       자칫 ‘양날의 칼’  영국 채널제도도 마찬가지로 전면전 땐 전략적 가치 사라져   정부의 구상대로 서해 5도를 중심으로 서북해역사령부가 설치되고 이곳이 요새화하면...

  • 일 제안한 한-일 군사기밀협약 무슨 ‘비밀’ 있나일 제안한 한-일 군사기밀협약 무슨 ‘비밀’ 있나

    2011. 01. 20

    한겨레 국방 전문 웹진 ‘디펜스21’ 오픈 특집 - ‘연평도 피격 그 후’     ▲지난 10일 서울 용산구 국방부에서 열린 한-일 국방장관 회담. 김태형 기자     한국 방위산업 추락-도약 갈림길   지난해 12월 9일 이명박 대통령과 인도네시아 수실로 밤...

  • 신선놀음에 도끼자루 썩는 줄 몰랐다신선놀음에 도끼자루 썩는 줄 몰랐다

    2011. 01. 20

      한겨레 국방 전문 웹진 ‘디펜스21’ 오픈 특집 - ‘연평도 피격 그 후’     북 체제 붕괴 몰두하다 국지 도발 ‘뒤통수’   옛말에 ‘신선놀음에 도끼자루 썩는 줄 모른다’는 말이 있습니다. 어떤 부질없는 일에 탐닉해서 해야 할 일을 하지 않...

  • 기동성 초점 ‘욱일승천’ 일, 동북아 신냉전 기류기동성 초점 ‘욱일승천’ 일, 동북아 신냉전 기류

    김종대 | 2011. 01. 20

    한겨레 국방 전문 웹진 ‘디펜스21’ 오픈 특집 - ‘연평도 피격 그 후’       기타자와 도시미 일본 방위상이 1월 10일부터 11일까지 한국을 방문해 김관진 국방장관과 ‘군사비밀보호협정’과 ‘상호군수지원협정’ 등을 논의하는 한일 국방장관 회담을...

  • 서북해역사령부, 배가 산으로 갈라서북해역사령부, 배가 산으로 갈라

    2011. 01. 20

      한겨레 국방 전문 웹진 ‘디펜스21’ 오픈 특집 - ‘연평도 피격 그 후’   그래픽 정희영, 사진 뉴시스     서해는 이미 ‘사령부 천국’가뜩이나 복잡한 지휘체계에 혼선만 부채질할 판   성격과 임무 가닥 안 잡혀창설 모체 부대 선정부터 이견“즉흥...

기획 특집|전망과 분석

R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