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기업들 ‘대북 경협’ 발묶인 새 ‘북한 자원’ 다 채가는 중국

2011. 01. 17
조회수 54666 추천수 0

포스코 무산철광 개발권 중 국영업체에 뺏길 판
희토류 개발 추진 업체는 북 승인받고도 발만 동동

 

00381927201_20110115.JPG

 

북한의 자원 개발을 추진해온 한국 기업들이 정부의 대북경협 전면중단 조처로 이미 확보했던 자원마저 중국에 빼앗기며 발을 동동 구르고 있다. 중국 기업들은 이 와중에 북한의 광물자원을 확보하는 계약을 착착 성사시키고 있다. 중국의 북한 자원 ‘싹쓸이’를 막기 위해서 광물자원 등 일부 제한된 분야에서라도 한국 기업의 대북 접촉을 허용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포스코는 이미 2009년 북한과 무산철광 개발과 철광석 도입에 합의했으나, 북한과의 경협·접촉을 전면 금지한 지난해 5·24 대북조처에 묶여 사업이 중단된 상태다. 이런 사이 지난 12월20일 중국 국유기업 산하 투자전문회사인 상디관췬(商地冠群)투자유한공사는 20억달러(약 2조2300억원)를 북한 나진·선봉 특구와 무산철광에 투자하는 내용의 의향서를 북한 조선투자개발연합체와 체결했다.

 

베이징의 상디관췬 관계자는 14일 <한겨레> 기자와 만나 “무산철광에 연 300만t을 생산할 수 있는 개발설비와 발전설비 등을 투자하고 무산철광 개발권을 확보하는 계약을 이달말 (상디관췬의) 미창 총경리가 평양을 방문해 맺을 예정”이라고 말했다. 상디관췬은 현금 투자와 산업구조조정으로 퇴출해야 할 노후 채굴·발전 설비를 북한에 들여가는 방식을 병행할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 기업들은 상디관췬과 공동으로 무산철광 개발에 참여하는 방안을 추진해 왔으나, 한국 정부의 불허 방침으로 포기해야 할 상황이다. 특히 포스코는 5·24 조처 때문에 북한과의 접촉이 불가능한 상황이어서, 상디관췬의 계약으로 애초 북한과 합의했던 개발권이 아예 취소되는지 여부도 확인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북한 내 희토류 개발에서도 한국 기업은 뒷전으로 밀리고 있다. 첨단제품 소재로 쓰이는 희토류 확보를 둘러싸고 전세계는 자원분쟁 조짐마저 보이고 있는 상황이다. 한국의 신호산업개발은 황해남도 청단군의 희토류를 개발하기로 지난해 11월11일 북한 국가지하자원개발위원회의 승인을 받았으나, 정부 정책에 묶여 개발이 무산될 위기에 처해 있다. 이 회사 관계자는 “북한 내 희토류 개발 참여를 허용해 달라고 통일부에 여러 차례 제안했지만, 통일부는 5·24 조처를 내세우며 ‘불가’라는 답변만 하고 있다”며 “자원 개발 등 일부 사업만이라도 선별적으로 접촉, 투자 승인을 해줘야 한다”고 말했다.

 

베이징의 소식통은 “경제난 타결을 서두르는 북한이 재원 확보를 위해 온갖 광산들을 다 내놓고 있고 중국 기업가들이 북한 광산 관련 서류와 광물 샘플을 수없이 들고 나오고 있다”며 중국의 북한 자원 싹쓸이 위험성을 경고했다. 2010년 통계청 자료를 보면 2008년 기준 북한 광물의 잠재가치는 6983조5936억원에 달한다. 베이징/박민희 특파원 minggu@hani.co.kr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 메일



  • “중국 인민해방군, 북한 급변사태 때 대동강 이북 점령”“중국 인민해방군, 북한 급변사태 때 대동강 이북 점령”

    김종대 | 2011. 05. 25

     미국이 북한 급변사태를 가정한 ‘작전계획 5027’을 발전시키고 있는데 대응하여 중국정부 역시 이와 유사한 비상계획을 준비한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정부의 비밀계획은 일명 ‘병아리(小鷄 : 샤우치우아이) 계획’으로 마치 암탉이 병아리를 품듯이...

  • 서북해역, 천안함 뒤 ‘사자-호랑이’ 동시에 풀어놓은 상황서북해역, 천안함 뒤 ‘사자-호랑이’ 동시에 풀어놓은 상황

    2011. 03. 25

    천안함 1주년①-위기 대비능력 저하된 채 남북 무기·전력 ‘집중’막후협상 통로 마련 못하면 2012년에 ‘결정적 위기’ 맞을 수도천안함 사건이 발생한지 3월26일로 1주년이 됐다. 천안함 사건은 아직까지 사건의 실체가 명확히 드러나지 않은 상태지...

  • ‘이등병의 편지’ 부르며 군대 가는 북 청년들‘이등병의 편지’ 부르며 군대 가는 북 청년들

    김보근 | 2011. 01. 25

    제가 2009년 8월 이라는 남북관계 전문 월간지에 기고한 글입니다.남한 청년들이 군대에 가면서 즐겨부르는 를 북한 청년들도 군 입대를 앞둔 환송식에서 즐겨부른다는 내용입니다. 이 노래도 북한에 들어간 많은 남한 가요들처럼 이름은 바뀌었습니...

  • 흡착물 재조사 없이는 정부 천안함 조사 국제법정서 패소흡착물 재조사 없이는 정부 천안함 조사 국제법정서 패소

    김종대 | 2011. 03. 26

    천안함 1주년②…재미 과학자 김광섭 박사 특별기고 합조단의 흡착물 관련 주장은 어뢰설을 스스로 부정 필자는 지난해 7월, 지에 천안함에서 수거된 흡착물에 대한 합조단과 반합조단의 과학자들 간의 논쟁에 대하여 글을 올렸습니다. 에 글을 실은 이...

  • 중앙정보부도 북파공작원 운영했다중앙정보부도 북파공작원 운영했다

    2011. 02. 22

    하태준 HID 대한민국 특수임무수행자ㆍ유족동지회 회장 인터뷰HID. 흔히 북파공작원을 말한다. 정부는 수십 년 동안 이들의 존재를 감추는 데에만 급급했다. 가족에게조차도 이들의 존재감은 없었다. 목숨을 내놓았지만 밝히지 못하는 ‘존재’이자 ...

기획 특집|전망과 분석

R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