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의 패권 추구? 엉터리 번역이 문제중국의 패권 추구? 엉터리 번역이 문제 [3]

    김종대 | 2011. 12. 16

    아시아에서 미국의 힘이 쇠퇴하고 중국의 굴기(屈起)가 시작되면서 동북아 세력균형에도 상당한 변화가 오고 있다. 우리는 작년에 천안함과 연평도 사건을 겪으면서 남북관계의 긴...

  • 북한, 보수도 진보도 아닌 북한으로 바라보자북한, 보수도 진보도 아닌 북한으로 바라보자

    김종대 | 2011. 11. 29

    [이수혁 전 6자회담 수석대표 인터뷰] 권력 속성 인정 않고 붕괴론 입각한 강경책만, 북 생존 위한 수소폭탄 실험까지도 대비해야 우리가 속한 세계를 ‘낯설게 바라보고자’하는 노력은 모든 창의력의 원천이다. 새로운 맥락 속에서 사물을 인식하...

  • “중국 인민해방군, 북한 급변사태 때 대동강 이북 점령”“중국 인민해방군, 북한 급변사태 때 대동강 이북 점령”

    김종대 | 2011. 05. 25

     미국이 북한 급변사태를 가정한 ‘작전계획 5027’을 발전시키고 있는데 대응하여 중국정부 역시 이와 유사한 비상계획을 준비한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정부의 비밀계획은 일명 ‘병아리(小鷄 : 샤우치우아이) 계획’으로 마치 암탉이 병아리를 품듯이...

  • MB 정권 들어 주한미군 2051명 줄었다MB 정권 들어 주한미군 2051명 줄었다

    2011. 04. 15

    국방부 “미군 2만8500명 유지” 주장…미군 자료는 ‘감축’ 보여줘 청와대, 대표적 한미공조 사례로 홍보…‘대국민 사기극’ 가능성 이명박 정부 출범 이후 한국과 미국이 줄곧 주한미군 규모의 현수준(2만8500명) 유지 합의를 강조해온 것과 달리 ...

  • 용산기지 이전비용 한국이 9조원 부담용산기지 이전비용 한국이 9조원 부담

    2011. 03. 30

    애초 계획보다 1.6배 늘어 “사업지원비·이자 등 추가” 서울 용산 미군기지를 2016년까지 평택으로 이전하는 데 한국이 부담할 비용이 9조원가량으로 추산됐다. 이는 2004년 12월 용산기지 이전협정 국회비준 당시 발표했던 건설비 5조6000억원에 견줘...

  • 흡착물 재조사 없이는 정부 천안함 조사 국제법정서 패소흡착물 재조사 없이는 정부 천안함 조사 국제법정서 패소

    김종대 | 2011. 03. 26

    천안함 1주년②…재미 과학자 김광섭 박사 특별기고 합조단의 흡착물 관련 주장은 어뢰설을 스스로 부정 필자는 지난해 7월, 지에 천안함에서 수거된 흡착물에 대한 합조단과 반합조단의 과학자들 간의 논쟁에 대하여 글을 올렸습니다. 에 글을 실은 이...

  • 서북해역, 천안함 뒤 ‘사자-호랑이’ 동시에 풀어놓은 상황서북해역, 천안함 뒤 ‘사자-호랑이’ 동시에 풀어놓은 상황

    2011. 03. 25

    천안함 1주년①-위기 대비능력 저하된 채 남북 무기·전력 ‘집중’막후협상 통로 마련 못하면 2012년에 ‘결정적 위기’ 맞을 수도천안함 사건이 발생한지 3월26일로 1주년이 됐다. 천안함 사건은 아직까지 사건의 실체가 명확히 드러나지 않은 상태지...

  • ‘중국 개입 변수’ 한미 견해 차이로 ‘개념계획 5029’ 표류‘중국 개입 변수’ 한미 견해 차이로 ‘개념계획 5029’ 표류 [2]

    김종대 | 2011. 03. 04

    작전계획 5029 대해부① 미국은 적극 반영, 한국은 소극 대응…논의 진전 없어지난해 10월18일 열린 한미 연례안보협의회(SCM)를 앞두고 청와대는 “중국의 개입을 전제로 한 ‘개념계획 5029’ 검토를 중단하라”고 국방부에 지시했다. 이로 인해 북...

  • [집중분석]  일본의 한․일 군사협정 제안 배경[집중분석] 일본의 한․일 군사협정 제안 배경

    김종대 | 2011. 03. 03

      D&D Focus 2011년 2월호 북한의 4차 미사일 실험하면 한미일 집단방위체제 가시화된다!     기타자와 도시미 일본 방위상이 1월 10일부터 11일까지 한국을 방문해 김관진 국방장관과 ‘군사비밀보호협정’과 ‘상호군수지원협정’ 등을 논의하는 한일 국...

  • 키 리졸브 작전의 북한 점령훈련, 실패할 수밖에 없는 이유키 리졸브 작전의 북한 점령훈련, 실패할 수밖에 없는 이유

    김종대 | 2011. 03. 03

        전쟁은 실패한 수단   미국은 2차 대전에서 독일과 일본을 점령한 이후 지난 60여 년간 단 한 번도 외국을 무력으로 점령하여 성공한 사례가 없습니다. 한국전에서도 실패했고, 월남전에서도 쫓겨 나오다 시피 했습니다. 케네디 대통령은 1961년...

기획 특집|전망과 분석

R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