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안함의 진실을 향한 대항해

김보근 2011. 01. 17
조회수 10855 추천수 0

봉인된 천안함의 진실
김보근 외 지음/한겨레출판·1만2000원

 

00375535701_20101023.JPG국방부는 지난 9월13일 펴낸 ‘천안함 최종 보고서’ 머리말에서 “이 보고서가 천안함 피격 사건의 진실을 정확히 이해하고, 그동안 제기됐던 모든 오해와 의혹이 해소되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보고서에서 밝힌, 국방부가 밝힌 ‘진실’의 뼈대는 천안함이 북한 어뢰 공격으로 침몰해 승조원 104명 중 46명이 전사했다는 것이다.

 

하지만 최종 보고서가 나온 뒤에도 천안함에 대한 의혹은 여전히 가시지 않는다. 국방부가 펴낸 천안함 최종 보고서는 “북한이 했다”는 결론을 먼저 내리고 그 주장을 뒷받침하는 증거들이 나열된 구조다. 하지만 보고서의 천안함 북한 어뢰 폭침 증거는 매우 빈약하고, 그동안 제기된 대부분의 의혹에 대해서는 제대로 해명을 하지 않았다.

 

최종 보고서는 북한산 중어뢰의 폭발력(티엔티 환산 때 350~500)과 사건 당일 발생한 지진파의 폭발력(리히터 규모 1.5로 티엔티 환산 때 140~260)의 불일치는 무시하고 아예 언급조차 않았다. 천안함을 두쪽 낼 정도의 어뢰가 터졌다면, 승조원들이 “총알처럼 튕겨나간다”는 민군 합동조사단 자문위원의 증언이 보도됐지만 보고서는 이런 의혹도 모른 척 넘어갔다.

 

최종 보고서가 나왔지만 천안함 관련 진실과 주장이 따로 놀고 있다. 진실은 여전히 깊은 곳에 ‘봉인’돼 있다. <한겨레> 기자들과 시민단체 활동가 등이 최종 보고서 발표 뒤에도 여전한 ‘천안함 의혹’과 취재기를 간추린 책 제목이 <봉인된 천안함의 진실>인 것도 이 때문이다.

 

하지만 봉인된 천안함의 진실 찾기는 어렵다. 이 책에 실린 <한겨레> 기자들의 취재기를 봐도 이런 한계는 명확하다. “수많은 취재 포인트를 공략했고 의혹은 많았지만, 결정적 증언이 나오지 않거나 정보가 확인되지 않았다. 전문가 멘트 따기가 하늘의 별 따기였다.” 북한 소행이란 정부 발표를 못 믿겠다는 사람에게는 “국민도 아니다”라고 겁박하는 분위기에서 진실을 뒷받침할 사실관계(팩트)를 확인해줄 과학자, 전문가들이 약속이나 한 듯 입을 다문 것이다.

 

이 책은 천안함의 ‘진실’을 확인하는 실마리를 제공한다. 예컨대 사고 원인과 관련해 어뢰설과 기뢰설을 두고 양쪽 주장의 근거와 반론을 충실하게 담았다. 합리적인 판단을 하는 사람이라면, 이 책을 통해 갖가지 미확인 주장이 난무하는 천안함 사건에 대한 쓸 만한 판단의 길잡이 구실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우선 1부에서는 지난 3월26일 천안함 침몰 이후 남북한과 중국, 미국, 러시아 등의 움직임, 남한 내 시민단체에 이르기까지 천안함과 관련한 활동주체들이 어떻게 움직여왔고, 또 어떤 입장 변화가 있었는지 큰 틀에서 다루고 있다. 천안함과 관련한 국내외 각 주체들의 인식 간극 좁히기에 주목한 것이다. 각 주체가 암묵적으로 천안함의 진실 봉인에 동의하고 자국의 이익 극대화에 나서는 구조에서는 동북아의 분쟁과 갈등은 필연적이기 때문이다.

 

제2부에서는 국방부가 발표한 천안함 최종 보고서의 문제점을 해부하고, 제3부에서는 천안함 사건을 취재해온 <한겨레> 기자 등의 취재기를 담았다. 최종 보고서의 모순을 20개 키워드로 정리한 2부에서는 과학적 내용과 정치적 주장이 뒤섞여 난해한 천안함 관련 의혹과 쟁점을 비교적 알기 쉽게 정리했다.

권혁철 기자 nura@hani.co.kr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 메일
김보근
한겨레신문
한겨레평화연구소 소장
한겨레평화연구소 소장으로 일하고 있으며, 북한문제 및 한반도 주변정세 등에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1997년 시사주간지 한겨레21에 ‘배고파요 오마니!’ ‘연변의 쉰들러’ 등 북한 식량난 문제를 표지이야기로 쓰는 등 북한 문제를 본격적으로 다뤄 왔습니다. 박사논문으로 <북한 천리마 노동과정 연구>(2006년)을 썼으며, 엮은 책으로 <봉인된 천안함의 진실>(2010년), 공저로는 <북한 주민의 일상생활>(2008), <남북연합 형성ㆍ운영의 거버넌스>(2008) 등이 있습니다.
이메일 : tree21@hani.co.kr      
블로그 : http://plug.hani.co.kr/peacekorea

김보근 기자의 최신글




  • 서해5도, 대만 금문도처럼 요새화?서해5도, 대만 금문도처럼 요새화?

    2011. 01. 20

      한겨레 국방 전문 웹진 ‘디펜스21’ 오픈 특집 - ‘연평도 피격 그 후’       자칫 ‘양날의 칼’  영국 채널제도도 마찬가지로 전면전 땐 전략적 가치 사라져   정부의 구상대로 서해 5도를 중심으로 서북해역사령부가 설치되고 이곳이 요새화하면...

  • 일 제안한 한-일 군사기밀협약 무슨 ‘비밀’ 있나일 제안한 한-일 군사기밀협약 무슨 ‘비밀’ 있나

    2011. 01. 20

    한겨레 국방 전문 웹진 ‘디펜스21’ 오픈 특집 - ‘연평도 피격 그 후’     ▲지난 10일 서울 용산구 국방부에서 열린 한-일 국방장관 회담. 김태형 기자     한국 방위산업 추락-도약 갈림길   지난해 12월 9일 이명박 대통령과 인도네시아 수실로 밤...

  • 신선놀음에 도끼자루 썩는 줄 몰랐다신선놀음에 도끼자루 썩는 줄 몰랐다

    2011. 01. 20

      한겨레 국방 전문 웹진 ‘디펜스21’ 오픈 특집 - ‘연평도 피격 그 후’     북 체제 붕괴 몰두하다 국지 도발 ‘뒤통수’   옛말에 ‘신선놀음에 도끼자루 썩는 줄 모른다’는 말이 있습니다. 어떤 부질없는 일에 탐닉해서 해야 할 일을 하지 않...

  • 기동성 초점 ‘욱일승천’ 일, 동북아 신냉전 기류기동성 초점 ‘욱일승천’ 일, 동북아 신냉전 기류

    김종대 | 2011. 01. 20

    한겨레 국방 전문 웹진 ‘디펜스21’ 오픈 특집 - ‘연평도 피격 그 후’       기타자와 도시미 일본 방위상이 1월 10일부터 11일까지 한국을 방문해 김관진 국방장관과 ‘군사비밀보호협정’과 ‘상호군수지원협정’ 등을 논의하는 한일 국방장관 회담을...

  • 서북해역사령부, 배가 산으로 갈라서북해역사령부, 배가 산으로 갈라

    2011. 01. 20

      한겨레 국방 전문 웹진 ‘디펜스21’ 오픈 특집 - ‘연평도 피격 그 후’   그래픽 정희영, 사진 뉴시스     서해는 이미 ‘사령부 천국’가뜩이나 복잡한 지휘체계에 혼선만 부채질할 판   성격과 임무 가닥 안 잡혀창설 모체 부대 선정부터 이견“즉흥...

기획 특집|전망과 분석

R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