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고] 미-중 정상회담을 보는 착잡한 심정[기고] 미-중 정상회담을 보는 착잡한 심정

    2011. 01. 19

    정욱식/평화네트워크 대표  19일부터 열리는 미-중 정상회담에 지구촌의 시선이 쏠리고 있다. 버락 오바마 대통령과 후진타오 주석의 정상회담은 양국 관계뿐만 아니라 국제질서의 미래를 가늠할 중대 분수령으로 간주된다. 우리의 관심사는 단연...

  • [김지석 칼럼] ‘중국 쓰나미’와 한반도[김지석 칼럼] ‘중국 쓰나미’와 한반도

    2011. 01. 19

     19일(미국시각) 워싱턴에서 열리는 미-중 정상회담은 ‘21세기 지구촌’의 출발점이라고 할 만하다. 양대 강국(G2) 시대의 시작이자, 대서양시대에 이은 아시아·태평양시대의 본격 개막이다. 중국의 부상은 순식간에 모든 것을 삼켜버리는 쓰나미를 ...

  • 금강산 ‘선상호텔’ 인천항 이전 추진금강산 ‘선상호텔’ 인천항 이전 추진

    2011. 01. 19

    북 동결자산 해제 ‘선결과제’  금강산 관광길이 열리면서 첫 숙박시설로 쓰였던 해금강호텔(사진)을 인천 앞바다로 이전하는 방안이 추진되고 있다. 인천시는 송영길 인천시장과 장경작 현대아산 사장이 지난 17일 오후 만나 해금강호텔의 인천 이전...

  • ‘4억 통일세 연구’ 휴짓조각 되나

    손원제 | 2011. 01. 19

    통일부, 결과 넉달전 정부안 확정키로…졸속추진 논란  통일부가 수억원을 들여 통일세 등 ‘통일재원’ 마련 방안을 연구하는 정책연구 용역사업을 발주해 놓고도, 실제 정부안은 연구용역이 완료되기 넉달 전에 확정짓겠다고 밝혔다. 대통...

  • “바이어는 등돌리고…적자만 쌓인다”“바이어는 등돌리고…적자만 쌓인다”

    2011. 01. 19

    ‘대북제재 장기화’ 개성공단 기업들의 한숨공장건설 중단 조치에 수십억 투자 포기 상태거래처 끊겨 사실상 휴업, 직원들은 이직 속출“정부가 지원 못할망정 불안 조장…고사직전” “개성공단 기업들을 말려 죽이려는가.” 정부의 대북 제재가 장기...

  • 후쿠야마 “미, 중국 가르칠 게 없다”

    2011. 01. 19

    ‘역사의 종언’ 논문 후쿠야마 교수“복잡한 결정 빠르게 내려…미, 자신의 잘못 돌아봐야”    미·소간의 냉전이 끝난 뒤 자유민주주의의 승리를 뜻하는 ‘역사의 종언’을 선언했던 프랜시스 후쿠야마 존스홉킨스대 교수가 “지금의 미국 ...

  • MB ‘강경’ 고수하면 급격 수정은 없을 듯

    이용인 | 2011. 01. 19

    19일(현지시각)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과 후진타오 중국 국가 주석의 정상회담을 계기로, 오바마 행정부가 이른바 대북 제재·압박을 통해 북한이 스스로 핵을 포기할 때까지 기다리는 ‘전략적 인내’에서 벗어나 적극적인 개입(협상) 전략으로 대북...

  • 미, 의전만 ‘극진 대접’…할말 다 쏟아붓는다미, 의전만 ‘극진 대접’…할말 다 쏟아붓는다

    권태호 | 2011. 01. 19

    압박 모양새 국내정치적으로 유리어차피 큰 결과 기대 어려워 강경       미국이 중국과의 정상회담을 앞두고 중국을 전방위로 압박할 태세를 분명히 하고 있다. 버락 오바마 미 행정부는 이번 정상회담에서 후진타오 중국 주석을 최대...

  • “남북 군사적 자극 자제 등…미 -중, 기존합의 반복할 것”“남북 군사적 자극 자제 등…미 -중, 기존합의 반복할 것”

    권태호 | 2011. 01. 19

    제임스 놀트 세계정책연 연구원    미국 뉴욕에 있는 싱크탱크 중 하나인 세계정책연구원(WPI) 선임연구원(미-동아시아 관계 전공)으로, 뉴욕공대의 중국 난징 캠퍼스 학장을 겸하고 있는 제임스 놀트 (사진)박사는 이번 미-중 정상회담에 대해 “이번...

  • 오바마의 가족식탁에 사상 첫 국빈초대

    권태호 | 2011. 01. 19

    중 투자 차부품 공장 시찰  후진타오 중국 국가주석의 미국 방문은 3박4일간의 길지 않은 일정이지만, 이 기간 동안 중국의 새로운 위상을 미국뿐 아니라, 전세계에 널리 알리려 할 것으로 예상된다. 후 주석은 미국 동부시각으로 18일 저녁...

기획 특집|전망과 분석

R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