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해5도, 대만 금문도처럼 요새화?

2011. 01. 20
조회수 879037 추천수 0

 

한겨레 국방 전문 웹진 ‘디펜스21’ 오픈 특집 - ‘연평도 피격 그 후’

 

00382130401_20110120.JPG

 

 

자칫 ‘양날의 칼’ 

영국 채널제도도 마찬가지로 전면전 땐 전략적 가치 사라져

 

정부의 구상대로 서해 5도를 중심으로 서북해역사령부가 설치되고 이곳이 요새화하면 우리의 국토방위능력이 더욱 강해질까요? 군사 전문가들은 대만의 금문도와 영국 채널제도 사례를 들어 그 반대의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고 지적합니다.


이 대통령은 지난해 12월7일 서해 5도에 대한 북한의 도발 방지책과 관련해 “군사적으로 요새화를 점진적으로 추진하라”고 말했습니다. 청와대 관계자는 이 대통령의 발언에 대해 “군사시설을 지하화하고 방공호와 같은 대피시설을 보강하는 등 서해 5도를 대만의 금문도와 같은 형태로 만드는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본토 방어 약화 부를 수도


금문도는 대만의 부속 섬이지만 중국 본토와의 거리가 불과 1.8㎞이며 동서 20㎞, 남북 길이 5∼10㎞인 조그만 섬입니다. 대만은 이 섬 전체를 땅속으로 그물망처럼 연결해 요새화했습니다. 이는 지하 2층으로 건설된 지하도시와 같은 형태입니다. 이곳에는 4만여명의 주민 전체가 대피해 생활할 수 있는 기반시설이 갖춰져 있으며 화생방 방어시설과 지하 비행장 등도 있습니다.


적과 대치하고 있는 섬을 요새화하는 것은 양날의 칼과 같습니다. 대만의 금문도처럼 적의 본토 공격을 막는 전선기지의 역할을 할 수도 있지만, 요새화에 지나치게 치중한 나머지 본토 방어가 약화되는 결과를 초래하기도 합니다. 또 본토에서 전면전이 일어날 경우 섬의 전략적 가치가 사라져 전쟁에서 아무런 기여도 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적이 무시해버리면 닭 쫓던 개


실제로 적과 대치한 섬을 요새화하고도 적이 무시해버려 전쟁에서 아무런 역할도 못한 경우가 존재합니다. 2차 세계대전 당시 채널 제도(Channel Island) 의 사례가 바로 그것입니다.


채널 제도는 영국 해협에 위치한 건지(Guernsey), 저지(Jersey), 사크(Sark), 올더니(Alderney) 4개 섬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4개 섬의 크기를 다 합쳐야 강화도 면적(302㎢)의 3분의2가 채 안되지만 프랑스 노르망디 지역으로부터 10~20㎞밖에 떨어져 있지 않습니다. 이 때문에 채널 제도는 오랫동안 프랑스의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영국 함대가 머무르던 군사기지 역할을 했지만 19세기부터 프랑스가 영국의 동맹국이 되면서 채널제도는 2차 세계대전 때까지 약간의 경비 병력만 주둔하는 어업기지이자 관광지로 바뀌게 됩니다.  

그러나 2차 세계대전이 발발하면서 채널 제도는 독일군의 침공을 받게 되고, 채널 제도 주둔 영국군은 저항 없이 본토로 철수해버립니다. 채널 제도를 점령한 독일군은 연합군이 유럽을 침공하기 전 채널 제도를 점령하여 발판으로 삼을 것이라고 생각했고(정확히는 히틀러의 생각), 이에 따라 채널 제도에 대한 요새화 및 전력보강이 이루어집니다. 육군 1개 사단의 이동 배치를 시작으로 공군 대공포부대와 해군 해안포 부대, 노동자 등을 합쳐 한때는 42,800명이 채널 제도의 방위에 투입됩니다.

 

이렇게 독일군의 자원이 채널 제도에 집중되면서 정작 영국과 마주하고 있는 프랑스 해안에 대한 방어태세는 매우 취약해졌습니다. 프랑스 본토의 디에프-생 나제르 해안 1000㎞에 배치된 독일군의 야포는 37문에 불과했으며, 노르망디 해안의 방어 역시 채널 제도에 비하면 턱없이 부족한 수준으로 떨어져버린 것입니다. 이 때문에 독일의 장군들은 채널 제도의 병력과 물자를 프랑스 본토로 이동시켜달라고 히틀러에게 수없이 요청했지만, 채널 제도가 연합군의 첫 공격을 받을 것이라고 굳게 믿었던 히틀러는 장군들의 요청을 번번이 거절합니다.

 

하지만 연합군은 히틀러의 예상을 깨고 채널 제도를 지나쳐 1944년 6월, 노르망디 해안에 상륙작전을 감행합니다. 이 때문에 채널 제도를 지키던 2만5천여 명의 독일군은 1945년 5월 종전 때까지 전쟁에 아무런 영향도 미치지 못한 채 섬에 갇혀 있다가 연합군에 항복하고 맙니다.

 

결국 히틀러가 프랑스 해안 방어까지 약화시켜가며 추진한 채널 제도의 요새화는 독일군이 저지른 낭비의 대표적 사례로 역사에 기록되고 있습니다.

 

박수찬 디앤디포커스 기자  fas117@hanmail.net

 

 

nk000.jpg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 메일



  • 일 제안한 한-일 군사기밀협약 무슨 ‘비밀’ 있나일 제안한 한-일 군사기밀협약 무슨 ‘비밀’ 있나

    2011. 01. 20

    한겨레 국방 전문 웹진 ‘디펜스21’ 오픈 특집 - ‘연평도 피격 그 후’     ▲지난 10일 서울 용산구 국방부에서 열린 한-일 국방장관 회담. 김태형 기자     한국 방위산업 추락-도약 갈림길   지난해 12월 9일 이명박 대통령과 인도네시아 수실로 밤...

  • [집중분석]  일본의 한․일 군사협정 제안 배경[집중분석] 일본의 한․일 군사협정 제안 배경

    김종대 | 2011. 03. 03

      D&D Focus 2011년 2월호 북한의 4차 미사일 실험하면 한미일 집단방위체제 가시화된다!     기타자와 도시미 일본 방위상이 1월 10일부터 11일까지 한국을 방문해 김관진 국방장관과 ‘군사비밀보호협정’과 ‘상호군수지원협정’ 등을 논의하는 한일 국...

  • “중 ‘우라늄 우려’ 표명했어도 북에 핵포기 압력 안넣을 것”“중 ‘우라늄 우려’ 표명했어도 북에 핵포기 압력 안넣을 것”

    권태호 | 2011. 01. 22

    데이비드 스트라우브(사진) 미국 스탠퍼드대 아시아·태평양연구소 부소장(전 국무부 한국과장)은 이번 미-중 정상회담에 대해 “정상회담 자체의 결과는 나쁘지 않았지만, 기본적인 문제는 여전히 해결되지 않았다”며 “한반도와 세계를 바라보는 미국과 ...

  • 북한 대응포격 하면 서울은 안전할까?북한 대응포격 하면 서울은 안전할까?

    김보근 | 2011. 01. 17

      안개 등 기상 주시하다 오후 2시30분 시작…연평도 등 서해5도에 주민대피령 북한, 예상할 수 없는 자위적 타격 공언...연평도 이외 지역 폭격 가능성도     한겨레 홈페이지 2010년 12월19일자 톱기사 우리 군의 연평도 포 사격훈련이 20일 오후 2시...

  • 후쿠야마 “미, 중국 가르칠 게 없다”

    2011. 01. 19

    ‘역사의 종언’ 논문 후쿠야마 교수“복잡한 결정 빠르게 내려…미, 자신의 잘못 돌아봐야”    미·소간의 냉전이 끝난 뒤 자유민주주의의 승리를 뜻하는 ‘역사의 종언’을 선언했던 프랜시스 후쿠야마 존스홉킨스대 교수가 “지금의 미국 ...

기획 특집|전망과 분석

R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