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변혁 이끄는 북한 여성들변혁 이끄는 북한 여성들

    2015. 03. 12

      <북한의 젊은 여자들>, 2010 - 에릭 라포르그 일반적으로 알려진 것과는 달리, 평양 여성들이 중국에서 유입된 패션을 따라하는 경향을 보이면서, 평양 거리에서는 단조로운 색상들이 서서히 사라지고 있다. 옷차림 이외에도, 여성들은 ...

  • 일본 애니메이션 <하늘의 소리>일본 애니메이션 <하늘의 소리>

    이동훈 | 2015. 03. 11

      지난 세기 과학의 놀랄 만한 진보를 본 인류는 무한한 발전이 가능하다고 믿었다. 그러나 우리가 누리고 있는 찬란한 과학 문명도 어떤 원인으로 인해 한 순간에 잿더미로 변할지 모른다. 설령 인류가 멸종을 면하고 살아남는다고 해도 ...

  • <북방루트 리포트>(돌베개 2015)를 읽고<북방루트 리포트>(돌베개 2015)를 읽고

    2015. 03. 10

        남만주철도주식회사(南滿洲鐵道株式會社), 약칭 만철. 1905년 러일전쟁에서 승리한 일본에게 러시아가 양도한 동청철도(東淸鐵道)의 남쪽 반, 즉 중국 랴오닝성(遼寧省)의 다롄(大連)에서 지린성(吉林성) 창춘(長春) 근처 쿠안청쯔(寬城子)까지의...

  • 수교 25주년 빨간등 켜진 한러관계수교 25주년 빨간등 켜진 한러관계 [1]

    강태호 | 2015. 03. 09

        지난 6일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열린 한러 대화 정경 컨퍼런스에서 이규형 한러대화 조정위원장이 개회사를 하고 있다.한국·러시아간 대화채널인 ‘한러 대화(KRD)’(조정위원장 한국쪽 이규형 전 주러대사, 러시아쪽 크로바체프 상트...

  • 그 해 봄, 한·미 연합훈련은 열리지 않았다그 해 봄, 한·미 연합훈련은 열리지 않았다

    이규정 | 2015. 03. 05

    김정은 북한 노동당 제1비서는 신년사를 통해 “남조선 당국은 외세와 함께 벌이는 무모한 군사연습을 비롯한 모든 전쟁책동을 그만두어야 한다”라고 말했다“한반도 북부를 선제 기습공격하기 위한 핵전쟁 연습” 1993년 북한은 한·미 군사훈련을 ...

  • ‘북한 붕괴론’의 ‘망령’이 아직도 떠돌고 있다‘북한 붕괴론’의 ‘망령’이 아직도 떠돌고 있다

    2015. 03. 03

       김정은 정권 출범 이후 3년 가까운 시간이 경과했지만 ‘김정은 정권붕괴론’이 아직도 회자되고 있다. 그 배경은 김정은 어린 나이와 경험 일천, 잦은 권력엘리트 교체, 장성택 처형, 김정은 건강 문제 등이다. 그러나 이것은 현 상...

  • 북·미 사이버 전쟁, 미국의 현실적 힘에 무기력한 북한북·미 사이버 전쟁, 미국의 현실적 힘에 무기력한 북한

    이규정 | 2015. 03. 02

     소니 해킹을 둘러싼 북미간 공방을 ‘사이버 ‘전쟁’이라고 부를 수 있을까. 버락 오바마 대통령은 전쟁행위가 아니라 파괴행위(반달리즘)이라고 표현했다. 우리는 직접적인 무력 충돌 뿐 아니라 ‘마약과의 전쟁’, ‘범죄와의 전쟁’처럼 갈등...

  • 한국형전투기(KFX)사업, 어디로 가나?한국형전투기(KFX)사업, 어디로 가나?

    김종대 | 2015. 02. 26

          한국형 전투기(KFX)의 모형   작년 12월 대한항공(KAL)의 최고위 관계자가 독일 뮌헨의 EADS(European Aeronautic Defence and Space Company 범유럽방위항공회사) 본사를 방문했다.  그 자회사인 ...

  • 하얀 달이라는 뜻의 몽골의 설 ‘차강살’하얀 달이라는 뜻의 몽골의 설 ‘차강살’

    2015. 02. 24

       하얀 달과 푸른 하늘. 몽골의 설 ‘차강 사르(tsagaan sar)’를 그대로 풀어 쓰면 ‘하얀 달’이란 뜻이다. 이것은 하늘에 뜬 하얀 달, 또는 음력으로 정월 한 달을 의미하기도 하는데, ‘차강살’은 봄의 시작을 의미하며 이 때부터 ...

  • 평화 도시네트워크 구상을 위한 대학간 협력평화 도시네트워크 구상을 위한 대학간 협력

    2015. 02. 23

       지난 15년간 한중일 시민사회는 비록 제한적이지만 3국 공동의 역사교과서를 출간하는 성과를 내면서 ‘아시아인’의 가능성을 모색했다., 영토 갈등과 역사 갈등은 ‘내셔널리즘’을 또다시 소환(recall)해냄으로써 ‘민족’과 ‘국민’의...

기획 특집|전망과 분석

R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