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연재> 북방 3각관계

강태호 2015. 07. 29
조회수 26960 추천수 0

 모스크바1.jpg

 지난 5월9일 모스크바 붉은 광장에서 진행된 2차대전 승전 기념식에서의 군사퍼레이드 장면.


 중국이 야심차게 준비하고 있는 9월3일 천안문 광장에서 열리는 2차대전 및 항일전쟁 승리 기념 열병식은 지난 5월 9일 모스크바에서의 전승 기념행사 보다 더 활발한 ‘전승 기념일 외교’의 무대가 될 것으로 보인다. 이미 시진핑 국가주석은 동북지방 현지지도를 통해  시진핑 지도부가 출범해 내세운 ‘주변국 외교’에서 전혀 진전을 보지 못하고 있는 북한에 대한  메시지를 던졌다. 러시아의 푸틴 대통령은 블라디보스톡 자유항 등 극동 연해주 지역에 대한 획기적인 개혁 개방조처를 내걸고 9월초 블라디보스톡에서 동러시아경제포럼(East Russia Economic Forum)을 연다. 그는 중국과의 전면적 전략적 협력관계를 이 지역으로 확대하면서 북한에 대한 전략적 접근 또한 구체화할 것이다. 푸틴은 블라디보스톡을 방문해 이 경제포럼에서 연설을 한 뒤 베이징 천안문 광장의 전승절 열병식에서 시진핑과 어깨를 나란히 하며 정치 경제를 넘어 군사적 협력관계로 확대되는 두나라의 유대를 과시할 것으로 보인다.
 9월 이 전승절 행사에는 박근혜 대통령이 초청을 받았으며, 중국은 일본의 아베 신조 총리도 초청했다. 일본 전문가들은 아베의 베이징 방문 가능성을 점치고 있다.  북한은 어떤가? 지난 5월 모스크바 전승절 행사에 불참한 북한의 김정은 위원장은 이번에도 중국의 초청을 거절할 것인가?  2013년말 고모부인 장성택 노동당 행정부장의 처형 이래 악화돼 온 중국과의 관계를 이대로 계속둘 것인가?  부시 행정부의 백악관 아시아담당국장을 역임한 빅터 차 조지타운대 교수의 표현을 빌리면 “지금 북한은 도발 주기(週期)에도 외교 주기에도 속하지 않는” 그래서 도대체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는지 외부세계에 여러가지 의문을 던져주고 있다.     
 국내 북한 전문가들은 의견이 엇갈리지만 김정은 국방위 제1 위원장이 베이징에 나타날 것인가에 대해 회의적인 편이다. 그러나  불참도 하나의 결정이며 선택이다.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이 내릴 결정 그 자체가 9월부터 펼쳐질 새로운 외교국면에 중요한 동인이자 변수가 될 것이다.  9월은 또한 신형대국관계를 내세운 시진핑 주석의 미국 방문이 예정돼 있다. 시진핑 주석은 오바마 대통령과 한반도 문제를 포함해 갈등과 대결양상을 보이고 있는 미중관계를 어떻게 풀어갈 것인가를 놓고 담판을 벌일 것이다.
 시진핑, 푸틴, 김정은의 최근 행보를 바탕으로 9월 이후의 정세를 다음의 주제로 4차례에 걸쳐 전망해 본다.
 1. 북 중 러 3각관계의 새로운 움직임

 2. 시진핑의 동북지방 현지지도-동북진흥 프로젝트
 3. 김정은의 선택-미사일 발사준비와 전승절의 국제정치
 4. 푸틴의 블라디보스톡 방문과 동러시아 경제포럼


강태호 선임기자 kankan@naver.com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 메일



  • 수퍼 차이나의 인더스트리 4.0 3_3수퍼 차이나의 인더스트리 4.0 3_3

    강태호 | 2016. 06. 02

    수퍼 차이나의 인더스트리 4.0(산업굴기)1부. 수퍼 차이나의 수퍼기업들   1_1. 발문:심층 기획을 시작하며       모방과 추격을 넘어 혁신으로   1_2. 세계를 사들이다        중국기업의 ...

  • 변혁 이끄는 북한 여성들변혁 이끄는 북한 여성들

    2015. 03. 12

      <북한의 젊은 여자들>, 2010 - 에릭 라포르그 일반적으로 알려진 것과는 달리, 평양 여성들이 중국에서 유입된 패션을 따라하는 경향을 보이면서, 평양 거리에서는 단조로운 색상들이 서서히 사라지고 있다. 옷차림 이외에도, 여성들은 ...

  • 기획 푸틴의 동방외교와 극동개발의 국제정치 3기획 푸틴의 동방외교와 극동개발의 국제정치 3

    강태호 | 2016. 07. 29

     <기획> 푸틴의 동방외교와  ‘극동개발의 국제정치' 발문: <푸틴의 동방외교와 극동개발의 ’국제정치’>를 시작하며      1. 푸틴의 동진과 시진핑의 서진  중-러의 전면적전략적협력동반자관계와 유라시아 통합 ...

  • <북방3각관계> 4. 푸틴의 블라디보스톡 방문과 동러시아 경제포럼<북방3각관계> 4. 푸틴의 블라디보스톡 방문과 동러시아 경제포럼

    강태호 | 2015. 08. 04

      <목차> 북방 3각관계    1. 북 중 러 3각관계의 새로운 움직임 2. 시진핑의 동북지방 현지지도-동북진흥 프로젝트 3. 김정은의 선택-미사일 발사준비와 전승절의 국제정치 4. 푸틴의 블라디보스톡 방문과 동...

  • 환동해 4개국-러시아 중국 몽골 일본 해외 현지 취재환동해 4개국-러시아 중국 몽골 일본 해외 현지 취재

    강태호 | 2014. 07. 21

    변방의 닫혀 있는 바다 동해   동해는 변방의 바다였다. 남북의 동해안 지역, 중국의 지린성, 러시아의극동 연해주, 일본의 서쪽 지역이 면해있는 동해는 각국의 주변부의 중첩된 변방으로 존재했다. 일본까지 포함해 대부분이 자국 내 다른 지역...

기획 특집|전망과 분석

R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