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제2미사일 기지 완공한듯”

2011. 02. 17
조회수 13602 추천수 0

‘미국의 소리’ 동창리 인근 발사타워 위성사진 입수 
 
북한이 제2미사일 기지 발사타워 공사를 끝낸 것으로 보인다고 <미국의 소리>(VOA)가 16일 (현지시각) 보도했다. 

<미국의 소리>는 북한 북서부 평양북도 철산군 동창리 인근 제2미사일 기지를 촬영한 위성 사진을 입수했다며 이같이 전했다. 글로벌시큐리터의 위성 사진 판독 전문가인 팀 브라운은 “발사대와 발사 타워 공사가 기본적으로 마무리됐다고 말할 수 있다”며 “문제는 북한이 발사용 로켓을 가졌는지이지만 이에 대해서는 아직 알수 없다”고 말했다. 

20110217 미국의 소리.JPG
▲ 제임스 클래퍼 미국 국가정보국(DNI) 국장의 미 상원 보고 내용을 보도한 <미국의 소리> 메인 화면.


북한의 제2미사일 기지는 2008년에 공사가 진행중이라는 사실을 알려졌으나, 그때는 공사가 한창 진행중이었다. 브라운은 북한의 제2미사일 발사기지가 첫번째 미사일 발사기지인 무수단리의 것보다 발전된 것이며 실험동과 관찰 타워 등의 시설이 있다고 밝혔다.

브라운은 “이런 정교한 발사 기지가 있다는 것은 놀랍다”고 말했다. <미국의 소리>는 강성 대국 건설을 외치는 북한이 또다시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실험을 벌일 가능성이 있다고 보도했다. 또한, 북한의 제2미사일 기지 건설이 미국과 직접대화를 벌이기 위해 미국을 압박하는 수단으로 이용할 수 있다고 전했다. 

한편, 제임스 클래퍼 미국 국가정보국(DNI) 국장은 16일 북한의 핵무기와 미사일 프로그램이 역내는 물론 역외에까지 심각한 위협이 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상원 정보위에 제출한 연례안보위협 보고서에서 북한이 1998년 대포동 1호를 시험발사한데 이어 2006년과 2009년 대포동 2호 미사일을 시험발사한 사실을 거론하면서 “북한은 자신들이 언급한 조그만 통신 위성을 궤도로 진입시키는 목표에는 실패했지만, 대륙간탄도미사일과 관련된 많은 기술들을 성공적으로 실험했다”고 평가했다. 

조기원 기자 garden@hani.co.kr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 메일



  • “중국 인민해방군, 북한 급변사태 때 대동강 이북 점령”“중국 인민해방군, 북한 급변사태 때 대동강 이북 점령”

    김종대 | 2011. 05. 25

     미국이 북한 급변사태를 가정한 ‘작전계획 5027’을 발전시키고 있는데 대응하여 중국정부 역시 이와 유사한 비상계획을 준비한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정부의 비밀계획은 일명 ‘병아리(小鷄 : 샤우치우아이) 계획’으로 마치 암탉이 병아리를 품듯이...

  • 서북해역, 천안함 뒤 ‘사자-호랑이’ 동시에 풀어놓은 상황서북해역, 천안함 뒤 ‘사자-호랑이’ 동시에 풀어놓은 상황

    2011. 03. 25

    천안함 1주년①-위기 대비능력 저하된 채 남북 무기·전력 ‘집중’막후협상 통로 마련 못하면 2012년에 ‘결정적 위기’ 맞을 수도천안함 사건이 발생한지 3월26일로 1주년이 됐다. 천안함 사건은 아직까지 사건의 실체가 명확히 드러나지 않은 상태지...

  • ‘이등병의 편지’ 부르며 군대 가는 북 청년들‘이등병의 편지’ 부르며 군대 가는 북 청년들

    김보근 | 2011. 01. 25

    제가 2009년 8월 이라는 남북관계 전문 월간지에 기고한 글입니다.남한 청년들이 군대에 가면서 즐겨부르는 를 북한 청년들도 군 입대를 앞둔 환송식에서 즐겨부른다는 내용입니다. 이 노래도 북한에 들어간 많은 남한 가요들처럼 이름은 바뀌었습니...

  • 흡착물 재조사 없이는 정부 천안함 조사 국제법정서 패소흡착물 재조사 없이는 정부 천안함 조사 국제법정서 패소

    김종대 | 2011. 03. 26

    천안함 1주년②…재미 과학자 김광섭 박사 특별기고 합조단의 흡착물 관련 주장은 어뢰설을 스스로 부정 필자는 지난해 7월, 지에 천안함에서 수거된 흡착물에 대한 합조단과 반합조단의 과학자들 간의 논쟁에 대하여 글을 올렸습니다. 에 글을 실은 이...

  • 중앙정보부도 북파공작원 운영했다중앙정보부도 북파공작원 운영했다

    2011. 02. 22

    하태준 HID 대한민국 특수임무수행자ㆍ유족동지회 회장 인터뷰HID. 흔히 북파공작원을 말한다. 정부는 수십 년 동안 이들의 존재를 감추는 데에만 급급했다. 가족에게조차도 이들의 존재감은 없었다. 목숨을 내놓았지만 밝히지 못하는 ‘존재’이자 ...

기획 특집|전망과 분석

R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