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결과

'김종대'에 대해 61건이 검색되었습니다.

  • MB 회고록 역풍과 국방부의 ‘호들갑’MB 회고록 역풍과 국방부의 ‘호들갑’

    김종대 | 2015. 02. 13

      요즘 우리 국방부 정책실의 북한정책과 직원들이 집에도 들어가지 못할 정도로 바쁘다는 이야기가 들립니다. 북한 전문가인 백승주 차관이 연일 북한정책과와 회의를 한다고 합니다. 무슨 일이 벌어지는 걸까요? 이와 유사한 분위기를 저는...

  • 편집실의 창편집실의 창

    김종대 | 2015. 01. 19

      희안한 기자회견 풍경   박근혜 대통령의 신년 기자회견은 여러모로 인상적입니다. 대통령 주변 좌석에 비서실 참모들을 앞줄에 앉히고 뒤쪽에는 총리와 장관을 배석시켰습니다. 우리 헌법과 정부조직법은 대통령이 총리를 통해 각 부 장...

  • 한해를  돌아보며-없어진 폭력과 남아 있는 폭력한해를 돌아보며-없어진 폭력과 남아 있는 폭력

    김종대 | 2014. 12. 22

         제1차 세계대전이 막 시작된 1914년, 벨기에 플랑드르에서 치열한 전투를 벌이던 영국군과 독일군은 상부 지시와 무관하게 참호를 떠나 완충지대에서 함께 성탄을 축하했습니다. 양 측 군인들은 먹을 것과 담배를 나누고 축구 ...

  • 지휘관에게만 책임을 묻기 어려운 문화적 임계상황에 놓인 군지휘관에게만 책임을 묻기 어려운 문화적 임계상황에 놓인 군

    김종대 | 2014. 12. 08

       푸르던 날은 가고 이제 가을을 지나 한해를 마무리하는 계절. 저희 디펜스21+ 사무실 바깥 나무들은 이제 앙상한 가지만 남겨둔 채 겨울을 맞이할 채비를 하고 있습니다. 세월호 사건에 이...

  • 사라진 군사주권, 길 잃은 균형외교사라진 군사주권, 길 잃은 균형외교

    김종대 | 2014. 11. 25

    또 물 건너간 군사주권  외교․안보는 장기적 안목에서 국가 생존의 방향을 설정하고 원대한 비전, 다양하고 유연한 전략을 구사할 수 있는 국가의 창의적 역량이다. 국제정치의 양상이 시대와 역사에 따라 변화무쌍하다면 당연히 국가 생존의...

  • 사드(THAAD) 한국배치라는 '유령논쟁'사드(THAAD) 한국배치라는 '유령논쟁'

    김종대 | 2014. 11. 13

    지난 2013년 3월 30일 노동신문이 공개한 사진. 김정은 제1국방위원장이 긴급 작전회의를 주재하는 장면 가운데 집무실 책상에서 서류에 사인하는 모습과 함께 뒷배경으로 노출된 ‘전략군 미 본토 타격계획.사드(THAAD) 한국배치, 가능한가? ...

  • [칼럼] 핵군축을 염원했던 미국 대통령과 한 소녀[칼럼] 핵군축을 염원했던 미국 대통령과 한 소녀

    김종대 | 2013. 12. 11

    1963년, 희망이 사라진 해2013년 11월22일은 미국의 제35대 대통령 존 F. 케네디가 텍사스 주 댈러스에서 암살 당한지 50주년이 되는 해입니다. 나이가 지긋한 미국인이라면 케네디 대통령 암살 뉴스를 처음 들었을 때 자신이 어디에서 무엇을 하...

  • 육군 중심 문화가 한국군 진화를 멈추게 했다!육군 중심 문화가 한국군 진화를 멈추게 했다!

    김종대 | 2013. 12. 11

    인터뷰 <한국군 국방개혁의 변화와 지속>의 저자 권영근 박사<한국군 국방개혁의 변화와 지속-818계획, 국방개혁 2020, 국방개혁 307을 중심으로>(연경문화사, 2만5천원)은 세 번의 한국군 국방개혁을 비교분석하여 우리나라 국방개혁의 성공...

  • 한-미가 아닌 북-미 군사연습이다한-미가 아닌 북-미 군사연습이다

    김종대 | 2013. 04. 09

    전쟁의 유령이 배회하는 한반도 위기에서 미국과 북한 사이에는 이제껏 볼 수 없었던 새로운 정치군사 게임이 진행중이다. 과거에는 미국과 북한 중 어느 한쪽이 무력시위를 하면 상대방은 긴장해서 방어태세를 취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지...

  • 미제 명품 무기 사랑의 끝은 ‘한국군 무장해제’미제 명품 무기 사랑의 끝은 ‘한국군 무장해제’

    김종대 | 2013. 01. 16

    한국의 차기 전투기(F-X) 사업의 도입 기종으로 거론되는 스텔스 전투기 F-35가 도입되면 사업비는 15조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도입 이후에도 정비비 및 업그레이드 명목으로 돈이 빠져나가면서 미국은 엄청난 이윤을 얻게 된다. <한겨레&g...

기획 특집|전망과 분석

R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