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장성 80% 퇴역뒤 군수업체 ‘첨병’

2011. 01. 17
조회수 14955 추천수 0

 

2005년 당시 미국 공군 군수사령관이던 그레고리 마틴(62) 대장은 35년 군생활을 마감한 전역식 직후 미국 방산업계 2위인 노스럽그러먼의 한 이사로부터 B-2 스텔스폭격기 생산에 대한 자문역을 제안받았다. 그는 또 몇 주 뒤엔 국방부로부터 최고기밀을 다루는 ‘공군연구자문위’의 위원장직을 제안받았다. 전역 직전까지 4년 동안 B-2 스텔스기를 포함한 공군의 무기프로그램 책임자였던 마틴은 현재 이들 두 자리뿐 아니라 퇴역 4성장군들이 만든 국방투자자문회사인 ‘포스타그룹’의 이사까지 맡아 미 군수산업계에서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미국 일간 <보스턴 글로브>가 지난 20년 동안 전역한 미군 최고위 장성 750명의 전역 뒤 행보를 조사분석한 결과, 마틴처럼 ‘장군 자리 빌려주기’(rent-a-general)에 뛰어든 전역 장성들이 갈수록 증가 추세라고 최근 보도했다. 2004~2008년 전역한 중장과 대장급 장성의 80%가 군수산업체에 재취업했다. 1994~1998년 50%였던 것에 견줘 크게 늘어난 것이다. 특히 2007년엔 육해공군에서 전역한 최고위 장성 39명 가운데 34명이 군수산업의 중역이나 자문역으로 재취업했다.

이는 퇴역 장성들이 국방부 고관이나 방산업체의 중역 및 자문역으로 돌고 돌면서 군부-국방부-군수업체 사이 ‘공생적 이해관계’가 구조적으로 이뤄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군장성들의 이른바 ‘회전문’ 추세는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근절해야 할 관행이라고 지적한 “미 의회 주변 인사들의 경우보다도 심각한 수준”이라고 신문은 전했다. 이들은 매년 수천억달러씩 쓰는 미국 무기구매사업의 이권에 개입하면서 방만한 예산 집행으로 미 군수산업의 수익을 보장해주는 든든한 뒷배경이 되고 있는 것이다. 일부 장성들은 전역도 하기 전에 군수산업계에 충원돼 이들이 현역 시절 불편부당한 결정을 내렸는지가 의심스런 경우도 많았다고 신문은 지적했다.

국방부도 이런 사실을 알면서도 기존 관행을 묵인 내지 허용하고 있고, 동일 직책을 맡았던 장성들도 전임자의 전역 뒤 행보를 그대로 답습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를 들어, 국방부에서 최근까지 해외무기판매를 총괄했던 7명의 최고위 장성들은 전역 뒤에도 미군 군수산업계에서 현재 해외무기판매 자문역으로 활동하고 있다. 미 로비금지법은 전역 뒤 1년간 현역 시절 관련기업 취업을 금지하고 있지만, 이들 고위 장성들은 관련 기업의 방계회사에 취업하는 형식을 취하거나 이사회에 들어가는 형식으로 이런 제약을 피하고 있다.

미 육사 출신인 잭 리드(로드아일랜드주) 상원의원은 “많은 장성들이 전역 뒤 퇴역연금의 2~3배를 벌어들여 부유한 생활을 누리고 있다”며 “내가 군복무를 하던 시절 장성들은 고향으로 돌아가는 것을 자랑스럽게 생각했지만, 요즘은 군장성들의 성공 기준이 전역 뒤 군수산업계에서 성공하는 것이 되고 있다”고 개탄했다.
류재훈 기자 hoonie@hani.co.kr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 메일



  • 미국, 한국형전투기 우려 ‘기술 유출 막말’ 소동미국, 한국형전투기 우려 ‘기술 유출 막말’ 소동

    김종대 | 2011. 11. 01

    미국으로부터 도입한 F-15K 센서인 타이거아이 무단분해 의혹을 따지러 미 국방부 비확산담당 수석부차관보를 비롯한 11명의 조사단 일행이 한국을 방문한 때는 8월말인 것으로은...

  • 미국, 한국 F-15K 기술유출 혐의 고강도 조사미국, 한국 F-15K 기술유출 혐의 고강도 조사

    2011. 10. 28

     우리 공군이 F-15K에 내장된 미국제 센서인 타이거 아이(Tiger Eye)를 무단으로 해체하여 미 국방부로부터 강도 높은 조사를 받고 있다. 미 국방부의 랜 댄 디펜 비확산 담당 수석부차관보는 올해 8월에 전격적으로 한국을 방문하여 우리 국방부...

  • 훈련 몇번에 닳은 전투화, 모시고 신어야 하나훈련 몇번에 닳은 전투화, 모시고 신어야 하나

    김동규 | 2012. 02. 20

    신형 보급 1달만에 앞코 가죽…접착식 밑창도 문제 기존 업체들 “성능 무리” 입찰 포기에도 사업 강행 한반도 전장은 거칠다. 강원도의 한겨울은 영하 20도를 넘나들지만 한여름은 영상 40도에 이를 정도로 덥다. 또한 국토 대부분이 산악 지대인 ...

  • 상륙전의 날개, 누가 주인인가?상륙전의 날개, 누가 주인인가?

    김동규 | 2011. 11. 25

    상륙전의 날개, 누가 주인인가? 상륙기동헬기를 갖기 위한 해군-해병대의 신경전 한국 해병대에는 상륙전의 필수 장비인 상륙기동헬기가 단 한 대도 없다.  군은  낙후된 상륙전력의 현대화를 위해 2016년까지 수리온 기반 상륙기동헬기 40여대를 도입...

  • “중동서 한국인 납치 소식 들리지 않게 하겠다”“중동서 한국인 납치 소식 들리지 않게 하겠다”

    김동규 | 2011. 04. 14

    한국 최초 민간군사기업 ‘블렛케이’ 인터뷰 “중동서 한국인 납치 소식 들리지 않게 하겠다” 한국에서 민간군사기업(Private Military Company, PMC)은 아직 생소한 업종이다. 민간인이 군용 총기류를 소지하는 것이 불가능한 한국에서 군사 임...

기획 특집|전망과 분석

R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