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군, 축구장만한 무인정찰기 띄운다

디펜스21 2012. 07. 02
조회수 19646 추천수 0


노스럽그러먼이 개발중인 미군 장기체공복합정찰기(LEMV) 개념도


5억달러짜리 최첨단 비행선
미군, 다음주께 첫 실험 비행
실전배치까진 검증 더 남은듯

무인기로 인한 민간인 오폭 비판여론에 시달리는 미군이 무인기 수십대의 정찰임무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축구장 크기의 무인 비행선을 다음주에 선보일 계획이라고 <월스트리트 저널> 등이 지난 30일(현지시각) 보도했다.

‘장기체공복합정찰기’(LEMV)로 불리는 이 비행선은 통신 감청과 동영상 촬영, 무장세력의 이동 감지가 가능한 최첨단 장비를 두루 갖추고 있다. 일단 전선에 배치되면 몇 주씩 쉬지 않고 임무를 수행할 수 있다.

<로스앤젤레스 타임스>에 따르면 아프가니스탄에 배치될 이 비행선은 길이가 450피트(137m)를 넘지만 2만피트(6096m)가 넘는 고공에서 비행할 수 있어 소형 무기나 아프간 반군이 사용하는 유탄발사기 등의 공격으로부터도 안전하다. 또 현재 배치된 무인기보다 훨씬 많은 카메라와 센서를 장착할 수 있어 작전사령부의 다중 작업을 가능케 한다. 예컨대 테러조직의 전화가 울리면 그 지점을 찾아낸 뒤 정확한 방향으로 카메라를 유도할 수 있다.


미국 방산업체인 노스럽그러먼이 개발중인 이 무인기는 현재로서는 베일에 가려 있다. 사진이 단 한 번도 공개된 적이 없어 군사 전문지들조차도 미 육군 로고가 찍힌 거대한 럭비공 모양의 개념도(그림)만을 제시하고 있을 뿐이다. 이 무인 비행선은 수소 다음으로 가벼운 기체인 헬륨으로 채워져 공중에 뜨게 된다. 노스럽그러먼 쪽은 “기존 정찰기에 새로운 기능을 부가함으로써 군 정보수집 능력에 새로운 지평을 열 것”이라고 주장했다고 온라인 미디어 <슬레이트>는 전했다.

미군은 이르면 다음주 뉴저지의 맥과이어-딕스-레이크허스트 합동기지에서 첫 비행을 실시할 예정이다. 개발사는 2010년 6월 5억1700만달러에 이 프로젝트를 수주하면서 18개월 내에 비행선을 인도하겠다고 공언했지만, 미군은 시험비행을 연기해왔다. 미군 당국자는 “제조사 기술진이 최종 마무리 작업을 하고 있다. 조립 작업은 거의 끝났으며 엔진 테스트가 진행중”이라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시험비행에 성공하더라도 몇 가지 사안이 해결돼야 실전 배치가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현재로서는 조작에 몇 명이 필요한지, 고속 비행이 불가능한 육중한 비행선을 어떻게 아프간까지 옮길지가 불분명하다. 또 이 비행선이 아프간 힌두쿠시 산맥 상공에서 휘몰아치는 강풍 등의 악천후를 견뎌낼 수 있을지도 검증되지 않은 상태다. 한 전문가는 “3주 연속 비행할 수 있을 정도로 날씨가 좋은 곳을 가본 적이 없다”며 장기임무 수행 역량에 대해 의문을 제기했다.

군 정찰을 위한 대형 비행선은 과거에도 사용됐으나 1962년 미 해군에서 몇차례 사고와 기술적 문제로 퇴역한 이후 사용이 되지 않아왔다. <슬레이트>는 “대형 비행선은 천천히 움직이고 악천후에 견디기가 쉽지 않으며 공급이 부족한 헬륨에 의존한다는 점에서 문제가 있었다”고 전했다.

박현 기자 hyun21@hani.co.kr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 메일
디펜스21
한겨레신문
국방전문가와 전문기자들이 함께 만드는 국방 뉴스 및 비평 전문 웹진입니다. <디펜스21>은 정부의 국방정책과 우리 군과 외국 군의 무기체계, 방위산업 현황, 한미동맹 등 한반도를 둘러싼 안보정세 등을 다룹니다. 특히 국방의 근본 목적은 평화라는 시각에 기초해 최근 불안해져가는 한반도 안보사태를 점검하면서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을 위해 기여할 수 있는 바를 찾을 예정입니다. 독자 여러분의 많은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이메일 : hanispecial@hani.co.kr      

디펜스21 기자의 최신글




  • ‘깡통’ F-35 스텔스전투기 정권말 도입은 ‘악몽’ 부를 것‘깡통’ F-35 스텔스전투기 정권말 도입은 ‘악몽’ 부를 것

    김종대 | 2011. 03. 09

      정권 말 정치논리로 스텔스기 도입 추진 중 스텔스 전력화 2015년? ‘깡통 전투기’로 알려진 F-35 스텔스 전투기를 조기에 확보하려는 이명박 정부의 움직임이 긴박하다. 기자를 만난 한나라당 핵심관계자는 “반드시 현 정부 임기 중에 구매 ...

  • 청와대, 미국 무기 로비스트의 안마당 되는가?청와대, 미국 무기 로비스트의 안마당 되는가?

    2011. 02. 22

    청와대, 미국 무기 로비스트의 안마당 되는가? 최근 국정원 직원이 인도네시아 특사단의 숙소에 몰래 들어갔다가 국제적인 문제가 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이 때문에, 국산 고등훈련기(T50)의 인도네시아 수출이 어려워진 것 아니냐는 관측들이 나오고...

  • ‘군사 장비 무게’에 짓눌린 특전사의 전투능력‘군사 장비 무게’에 짓눌린 특전사의 전투능력

    김동규 | 2011. 05. 02

       김동규 디앤디 포커스 기자 ppankku@naver.com   UDT의 개방적 장비도입 절차 “함께 훈련을 받으면서 UDT는 특전사와 분위기가 많이 다르다는 것을 느꼈다. UDT는 매우 개방적이었다. 각 팀에서 아직 군에 보급되지 않은 전술장비를 사용해보고...

  • ‘빈 라덴 사살’ 미군 비밀병기 벗겨보니‘빈 라덴 사살’ 미군 비밀병기 벗겨보니

    박수찬 | 2011. 05. 31

    개량형 UH-60 블랙호크 헬기와 RQ-170 센티널 무인정찰기…모두 스텔스 기능 갖춰지난 5월 2일, 국제 테러조직 알 카에다의 지도자 오사마 빈라덴이 파키스탄 아보타바드에서 미군 특수부대에 의해 사살되었다. 빈라덴의 죽음은 여러 가지 ‘후폭풍’...

  • 첨단 무기 도입에 밀려 보병 전투력은 ‘10년째 제자리’첨단 무기 도입에 밀려 보병 전투력은 ‘10년째 제자리’

    김동규 | 2011. 06. 24

    병력 유지에만 급급한 ‘관리형 군대’, 보병 전투력 향상은 외면 대한민국 군대의 기초인 보병 전투력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국방부가 첨단 장비 위주의 전력 증강에 나섬에 따라 소부대 무기체계와 개인장비는 10년 전과 비교해 달라진 게 ...

기획 특집|전망과 분석

R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