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핵 20년 시시포스 신화(상)
르몽드 디플로 기획북핵 20년
2014.07.31 10:58 깐깐 Edit
1994년 북-미 제네바 기본합의의 주역인 로버트 갈루치 미 국무차관보는 얼마 전 국내의 한 학술회의에서 "봉쇄든 포용이든 지난 20년간 대북정책은 모두 실패했다"고 밝혔다.
누구도 부인하기 어렵다.
자, 그럼 생각해보자. 왜 실패했는가?
그 답을 찾기 위해 지난 20년 북핵의 궤적을 크게 둘로 나눴다.
하나는 '합의와 퇴행'이라는 주제로, 합의는 어떻게 가능했고 왜 이행되지 못하고 파기됐는지를 짚었다.
다른 하나는 '위기와 반전'이라는 주제로, 어떻게 전쟁의 위기로 치달았고, 어떻게 반전이 가능했는지를 추적했다.
마지막으로 북-미 최후의 담판을 내건 3차 핵위기의 본질은 무엇이고, 북한의 전략은 무엇인지를 분석했다.
르몽드 54호 2013.03.10 본지 특집 2335자 29면 강태호 | ||
|
글 / 강태호 <르몽드 디플로마티크> 한국판 편집위원.
[북핵 20년 기획시리즈 ]
1. 북핵 위기 20년과 3차 핵실험: 합의와 퇴행 (중)
르몽드 54호 2013.03.10 본지 특집 6422자 임수호
2. 북핵 위기 20년, 3가지 의문 (하)
르몽드 54호 2013.03.10 본지 특집 5348자 김종대
3. 미완의 합의와 최후의 담판 (최종)
르몽드 54호 2013.03.10 본지 특집 5819자 강태호
-
북핵20년 미완의 합의와 최후의 담판-마지막
강태호 | 2014. 10. 06
르몽드 디플로마티크 기획 북핵 20년 르몽드 54호 2013.03.10 본지 특집 5819자 31면 강태호 <르몽드 디플로마티크> 한국판 편집위원 2012년 8월 18일 괌 미군기지에서 군용기가 평양을 향해 ...
-
북핵 20년: 3가지 의문(하)
김종대 | 2014. 10. 06
북핵 20년 기획 (중)왜 북한은 요란하게 핵보유를 선언하려고 하는가? [54호] 2013년 03월 12일 (화) 17:13:25 김종대 info@ilemonde.com 북한은 3차 핵실험으로 핵무장에 성큼 다가갔다. 이제 북한의 핵보유는 지난해 미사일 성공과 더불어 기정사실...
-
북핵의 국제정치와 또 다시 찾아온 전쟁위기
강태호 | 2016. 01. 13
대북 강경책을 취했던 부시 행정부의 백악관에서 아시아담당국장을 했던 빅터 차 조지타운대 교수에게 4차 핵실험 이전까지 북한의 모습은 오히려 이례적인 것이었다. 한미일 군사협력을 강조하고 사드(고고도 미사일 요격 시스템) 배치...
-
시리즈 3 탐색적 대화와 제재 협상의 ‘병진노선’
강태호 | 2014. 12. 17
기존의 대북 정책이 모두 실패했다고 밝혔음에도 제네바 합의 미국쪽 협상대표였던 로버트 갈루치 전 미국 차관보의 입장은 분명하다. “외교적 협상은 여전히 필요하다”는 것이다. “물론 북한이 핵을 포기할 의사가 없을 수 있다는 ...
-
시리즈 1 미증유의 초강경 대응전인가 예비적 탐색적 대화인가
강태호 | 2014. 12. 15
시리즈를 시작하며 1차 북핵 위기를 종식시킨 북미 제네바 합의가 체결된 것이 지난 94년 10월이었으니 20년이 지났다. 지난 20년 북한 핵문제를 해결하려던 모든 대북 핵정책은 실패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게다가 2008년 12월을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