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한의 개성공단 불만과 남한 정부의 선택북한의 개성공단 불만과 남한 정부의 선택

    2015. 05. 29

      개성공단은 남북이 공동으로 협력하여 생산하는 형태를 유지하고 있지만, 남북의 정치․ 경제적인 힘이 첨예하게 맞서 있는 곳이다. 남북관계의 진전과 변화에 그대로 노출되어 있는 지역이면서도 외관상으로는 유일하게 정경분리가 적용되...

  • 러시아 주도 유라시아 경제연합과 중국의 신실크로드 구상의 통합러시아 주도 유라시아 경제연합과 중국의 신실크로드 구상의 통합

    강태호 | 2015. 05. 27

     유라시아의 거인 중국과 러시아의 전략적 협력관계 심화는 이 지역의 지정학적 지도를 바꾸고 있다. 러시아 언론들은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의 아시아태평양지역과의 협력강화 내지 동방정책을, 특히 우크라이나 사태 이래 미러 관계 악화와 서방...

  • 사라진 장교단의 집단정신과 장군의 인격사라진 장교단의 집단정신과 장군의 인격 [1]

    김종대 | 2015. 05. 26

     대한민국에서 장군들은 어떤 사람들인가? 필자에게는 이것이 가장 궁금했다. 민간인에게는 잘 알려져 있지 않는 한국군 장교단의 사고와 행동, 문화는 한국 문화의 중요한 구성부분이다. 그런데 최근 연이은 방산비리로 4성 장군 출신들이 구...

  • 왜 전사(戰史)를 알아야 하는가왜 전사(戰史)를 알아야 하는가

    2015. 05. 22

       남북전쟁 당시의 BULL RUN 전투를 묘사한 그림. 젊은 군인들은 전사를 멀리하는 경향이 있다.  전사를 공부한다는 것은 군인, 장군 그리고 전법을 이해하고 구상하는데 경전이다.  하지만 이렇게 중요한 전사에 대한 공...

  • 미일 신밀월시대 개막-글로벌 동맹으로 진화미일 신밀월시대 개막-글로벌 동맹으로 진화

    2015. 05. 20

      아베 일본 총리는 1952년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이 발효되었던 날인 4월 28일을 맞춰서 미국을 방문했다. 샌프란시스코 조약은 2차대전 이후 미국의 대일점령의 기본목표를 수정한 것이다. 전후 미국의 대일정책의 기본 목표는 ‘비군사화’와...

  • 퀴벨바겐과 티거 전차를 만든 천재 기술자 페르디난트 포르쉐퀴벨바겐과 티거 전차를 만든 천재 기술자 페르디난트 포르쉐 [1]

    이동훈 | 2015. 05. 19

      페르디난트 포르쉐 박사 페르디난트 포르쉐. 오늘날 그의 이름에서 군대에 관련된 것을 떠올리는 사람은 보기 힘들다. 그러나 그는 히틀러를 위해 각종 군용 차량을 설계하기도 했다. 그가 만든 차량 중에는 지극히 합리적인 차량들도 ...

  • 여군 창설 65주년과 숙대 ‘여성 안보전문가 육성’ 프로그램여군 창설 65주년과 숙대 ‘여성 안보전문가 육성’ 프로그램

    2015. 05. 18

     학군단에서 시행한 청파무제에서 찍은 예도무 사진 여군이 창설된 지 65주년을 맞았다. 2014년 한국 여군의 수는 8천3백여 명으로 전체의 2.9% 수준이다. 최근 여군 비율을 2020년까지 전체 병력의 5.6% 수준인 1만1천500여 명으로 확대...

  • 중국이 그리는 세계경제 지도와 남북관계에서 가장 소중한 일중국이 그리는 세계경제 지도와 남북관계에서 가장 소중한 일

    2015. 05. 14

       소중한 일 먼저 하기(First thing, first). 스티븐 코비(Steven Coby)의 ‘성공한 리더들의 일곱가지 습관’에 나오는 이야기다. 성공을 하려면 인생의 소중한 일을 우선해야 한다는 이야기다. 급한 일이 있다면 소중한 일 사이에 ...

  • 역사 속 황당한 방산비리 사건을 아시나요?역사 속 황당한 방산비리 사건을 아시나요?

    문형철 | 2015. 05. 12

      진흙포탄, 돈지랄 전차를 아시나요?   연이은 방산비리 관련 뉴스가 약방의 감초처럼 자주 나오고 있다. 하지만 그 방산비리의 이야기는 어제 오늘의 얘기가 아니다. 저 멀리 거슬러 올라가면 이들 무기는 그야말로 황당하고 어...

  • 일본군 패망의 교훈을 담고 있는  <참모본부와 육군대학교>의 현실진단일본군 패망의 교훈을 담고 있는 <참모본부와 육군대학교>의 현실진단

    김종대 | 2015. 05. 11

    일본은 왜 패망했는가? 쿠로노 타에루의 <참모본부와 육군대학교>의 마지막 장을 덮고 한동안 상념에 잠기게 됩니다. 1937년에 지나사변이 일어났을 때 일본의 대본영이나 참모본부, 만주군은 국지적이고 신속하게 사태를 마무리하려고 했습...

기획 특집|전망과 분석

R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