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러, 연합군사훈련 강화…‘군사·경제 손잡고 미국 대항’

디펜스21 2012. 06. 08
조회수 18274 추천수 0


1339068096_00432962601_20120608.JPG

▲후진타오 중국 국가주석(맨 앞줄 가운데)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맨 앞줄 왼쪽), 마무드 아마디네자드 이란 대통령(후진타오 뒤), 하미드 카르자이 아프가니스탄 대통령(아마디네자드 오른쪽) 등 상하이협력기구 국가 정상들이 7일 중국 베이징 인민대회당으로 입장하고 있다. 베이징/신화 뉴시스



후진타오·푸틴 정상회담서 합의

국경전력 감축에 교역증진 등도

중, 상하이기구 지원해 덩치키워


아시아·태평양 지역으로 ‘귀환한’ 미국에 맞서 중국과 러시아가 ‘동맹’에 버금하는 협력 관계를 구축해 나가기로 했다.


중국 외교부가 6일 공개한, 후진타오 국가주석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5일 정상회담 공동성명을 보면, 두 나라는 군사·정치·경제·국제관계 등 전방위적으로 협력을 명시했다.


우선 두 나라는 군사 분야에서 양국 군 사이의 전통적인 우호를 증진하고, 특히 지역의 평화와 안전을 위해 연합군사훈련을 촉진하기로 했다. 그간 양국은 중국, 소련, 중앙아시아 6개국의 모임인 ‘상하이협력기구’의 틀에서만 연합훈련을 해오다 지난 4월 한반도 서해에서 처음으로 별도로 해군연합훈련을 실시한 바 있다. 이번 성명은 양국의 연합훈련 횟수를 늘리겠다는 뜻으로 풀이돼, 한국 및 일본 등과의 군사협력을 통해 동북아시아에서 대중국 봉쇄 전선을 구축하고 있는 미국과 긴장을 불러올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어 보인다.


중-러는 또 성명에서 두 나라 사이에 존재하는 상호 신뢰와 평등 호혜의 정신에 따라 국경선 부근에서 군사력을 줄이기로 합의했다. 두 나라는 무려 4380㎞에 이르는 광대한 국경선을 맞대고 있어 옛 소련 시절부터 크고 작은 국경 분쟁을 벌여왔고, 1969년 3월에는 우수리강 주변에서 실제 전투를 벌이기도 했다. 중국과 소련이 ‘상호 신뢰’의 정신에 따라 국경선 부근의 군축에 합의한 것은 ‘가깝고도 먼’ 과거 양국 관계를 돌이켜 볼 때 상전벽해와 같은 상징적인 변화라고 할 수 있다.


경제분야에선 두 나라는 2015년까지 양국 간의 무역 규모를 1000억달러, 2020년까진 2000억달러까지 끌어올리기로 했다. 양국의 지난해 무역액은 840억달러였다. 또 양국은 향후 10년 동안 고위급 인사들의 왕래를 한층 강화해 국회 및 정부 각 부분 간의 협력체제를 건전화하기로 했다. 양국은 아프가니스탄 사태를 포함한 지역안보 문제에 대해서도 정기적으로 의견을 교환하기로 했다.


일본 <도쿄신문>은 “중국과 러시아가 이렇게 가까워진 것은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군사 비중을 높이고 있는 미국에 대한 위기감을 공유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한편 중국이 서구권의 패권 확대에 맞서 러시아 등과 함께 구성한 상하이협력기구에 100억달러를 지원하기로 했다고 <중국신문사>가 7일 보도했다. 회원국 간에 철도, 도로, 통신망 등을 조성하기로 의견을 모았고, 중국이 이를 위해 거액을 대출해 주는 것이다. 후 주석은 또 이 기구에 아프가니스탄을 옵서버로, 터키를 대화파트너로 받아들이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로써 상하이협력기구는 중국, 러시아, 타지키스탄, 우즈베키스탄,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등 6개 정식 회원국 이외에 인도, 파키스탄, 이란, 몽골, 아프가니스탄을 옵서버로, 그리고 스리랑카와 벨라루스, 터키를 대화파트너로 둔 거대 협력체로 변했다. 서방 선진국들의 모임이라 할 수 있는 북대서양조약기구(나토)에 맞서는, 동방의 지정학적 동맹체 구성의 가능성이 열린 셈이다.


길윤형 기자 charisma@hani.co.kr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 메일
디펜스21
한겨레신문
국방전문가와 전문기자들이 함께 만드는 국방 뉴스 및 비평 전문 웹진입니다. <디펜스21>은 정부의 국방정책과 우리 군과 외국 군의 무기체계, 방위산업 현황, 한미동맹 등 한반도를 둘러싼 안보정세 등을 다룹니다. 특히 국방의 근본 목적은 평화라는 시각에 기초해 최근 불안해져가는 한반도 안보사태를 점검하면서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을 위해 기여할 수 있는 바를 찾을 예정입니다. 독자 여러분의 많은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이메일 : hanispecial@hani.co.kr      

디펜스21 기자의 최신글




  • 서해5도, 대만 금문도처럼 요새화?서해5도, 대만 금문도처럼 요새화?

    2011. 01. 20

      한겨레 국방 전문 웹진 ‘디펜스21’ 오픈 특집 - ‘연평도 피격 그 후’       자칫 ‘양날의 칼’  영국 채널제도도 마찬가지로 전면전 땐 전략적 가치 사라져   정부의 구상대로 서해 5도를 중심으로 서북해역사령부가 설치되고 이곳이 요새화하면...

  • 일 제안한 한-일 군사기밀협약 무슨 ‘비밀’ 있나일 제안한 한-일 군사기밀협약 무슨 ‘비밀’ 있나

    2011. 01. 20

    한겨레 국방 전문 웹진 ‘디펜스21’ 오픈 특집 - ‘연평도 피격 그 후’     ▲지난 10일 서울 용산구 국방부에서 열린 한-일 국방장관 회담. 김태형 기자     한국 방위산업 추락-도약 갈림길   지난해 12월 9일 이명박 대통령과 인도네시아 수실로 밤...

  • 신선놀음에 도끼자루 썩는 줄 몰랐다신선놀음에 도끼자루 썩는 줄 몰랐다

    2011. 01. 20

      한겨레 국방 전문 웹진 ‘디펜스21’ 오픈 특집 - ‘연평도 피격 그 후’     북 체제 붕괴 몰두하다 국지 도발 ‘뒤통수’   옛말에 ‘신선놀음에 도끼자루 썩는 줄 모른다’는 말이 있습니다. 어떤 부질없는 일에 탐닉해서 해야 할 일을 하지 않...

  • 기동성 초점 ‘욱일승천’ 일, 동북아 신냉전 기류기동성 초점 ‘욱일승천’ 일, 동북아 신냉전 기류

    김종대 | 2011. 01. 20

    한겨레 국방 전문 웹진 ‘디펜스21’ 오픈 특집 - ‘연평도 피격 그 후’       기타자와 도시미 일본 방위상이 1월 10일부터 11일까지 한국을 방문해 김관진 국방장관과 ‘군사비밀보호협정’과 ‘상호군수지원협정’ 등을 논의하는 한일 국방장관 회담을...

  • 서북해역사령부, 배가 산으로 갈라서북해역사령부, 배가 산으로 갈라

    2011. 01. 20

      한겨레 국방 전문 웹진 ‘디펜스21’ 오픈 특집 - ‘연평도 피격 그 후’   그래픽 정희영, 사진 뉴시스     서해는 이미 ‘사령부 천국’가뜩이나 복잡한 지휘체계에 혼선만 부채질할 판   성격과 임무 가닥 안 잡혀창설 모체 부대 선정부터 이견“즉흥...

기획 특집|전망과 분석

R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