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현안 전문가 모니터링 시스템 활용방안
- 고위직 예비역의 국가적 활용 차원을 중심으로 -
• 발간일 : 2002. 12. 10.
• 연구자 : 김 용 석 박사
• 총쪽수 : 140 쪽
Ⅰ. 서 론 - 29
1. 연구배경 - 29
2. 연구방법 및 범위 - 31
Ⅱ. 사회조사의 방법 - 34
1. 사회조사의 이론 - 34
2. 국방조사의 실태 - 36
Ⅲ. 국방 주요현안 조사 사례 - 41
1. F-X사업 - 41
2. 용산 미군기지 이전 문제 - 48
3. 북한 상선 영해 침범 - 52
4. 서해교전 - 56
Ⅳ. 전문가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방안 - 61
1. 미래예측의 방법 - 61
2. 학습조직과 정보공유 - 66
3. 전문가 활용방법 - 68
Ⅴ. 시스템을 적용한 전문가 의견조사 사례 - 70
1. 긴급설문 사례 - 71
2. 일반설문 사례 - 75
3. 심층토론식 설문 사례 - 99
Ⅵ. 조사시스템의 발전방안 - 113
1. 조사시스템의 구성개념 - 113
2. 시스템 구성요소의 준비 - 114
3. 비용과 시간 - 118
Ⅶ. 결론 및 정책제안 - 120
1. 결론 - 120
2. 정책제안 - 122
[참고문헌] - 124
[부 록] - 126
부록1. 일반설문지(국방전반 과제) - 126
부록2. 긴급설문지(현안 과제) - 134
부록3. 심층토론 및 설문지 - 135
부록4. 민주평통 설문지 - 137
[표 차례]
<표-1> 표본의 특성 - 32
<표-2> 사회과학의 본질에 대한 가정의 틀 - 35
<표-3> 군과 사회의 조사방법 비교 - 39
<표-4> 군과 사회의 조사방법상의 차이 - 40
<표-5> ‘02년 국방부 기능별 자문위원 현황 - 68
<표-6> 설문방법에 따른 장단점 - 71
<표-7> 설문 표본 - 115
<표-8> 설문별 총 과제비 - 119
[그림 차례]
<그림-1> 미래예측방법의 분류 - 63
<그림-2> 주관적 판단방법의 분류 - 65
출처 : 한국군사문제연구원 http://www.kima.r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