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저널  김종대│디펜스

 

높은 곳에서 떨어질수록 더 아프다. 위관급보다 영관급이, 영관급보다는 장군이 진급이 좌절됐을 때 더 큰 상실감을 갖는다는 이야기다. 사람들은 장교들이 일단 장군이 되면 웬만히 누릴 만한 명예는 다 누렸으니 만족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실상은 그렇지 않다. 명예욕이란 것은 충족되면 될수록 배가 고파지는 무한 욕망이다. 장군이 되면 위계와 서열로 이루어진 거대한 욕망의 피라미드의 정상이 보인다. 눈앞에 최고의 자리가 보이면 보일수록 그곳에 도달하려는 충동과 경쟁에서 이기겠다는 의지는 더 고취된다. 설령 장군 개인은 그러한 욕망을 초월했다고 자위할지 모르지만, 군대는 그러한 개인이라도 정신없이 경쟁에 몰두하게 만드는 거대한 구조물이다. 권력과 명예를 추구하는 인간의 본성 위에 군대가 작동하고 있다. 권력을 추구하는 자는 어떤 때는 배신도 하고, 어떤 때는 미덕도 저버려야 한다. 따라서 이 군대의 실질적 통치자는 바로 '목적만 정당하다면 수단은 아무래도 상관이 없다'는 비윤리적 견유주의(犬儒主義)를 제창한 마키아벨리일 것이다.

 

한국군의 현실에서 군 장성이 군 최고 계급인 대장이 되었다고 해서 입신양명의 기회가 끝나지 않는다. 군인 이후에 또 다른 명예가 기다리고 있다. 한때 '장군 되기를 포기한 대령'이라는 뜻의 '장포대'라는 용어는 이제 '장관되기를 포기한 대장'이라는 의미로 통하고 있다. 김병관 예비역 대장은 2006년 당시 장관이 되기 위해 경쟁하는 육군참모총장과 합참의장을 빗대 이 말을 처음으로 만들어냈다. 미국을 비롯한 선진국은 현역 장군 출신이 문민 국방장관이 될 수 없도록 법으로 금지하고 있지만 한국의 현실에선 대장이 장관이 되는 또 하나의 진급이 기다리고 있다. 지금의 한민구 국방부장관은 육사 31기로 권오성 육참총장의 육사 3년 선배다. 육참총장과 합참의장을 지휘하는 양복 입은 군인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점이 한국 국방의 가장 비정상적인 요인이라고 할 것이지만 안보 현실이 엄중한 우리 현실에서는 폭넓게 용인되어온 군사주의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런 비정상이 초래한 가장 큰 부작용은 민주주의와 안보가 서로 조화와 균형을 이루지 못하고 갈등하게 된다는 점이다.

국방정책 굴절시키는 '양복 입은 군인들'

전문가는 편견을 가진 존재이기도 하다. 500년 전에 영국의 솔즈베리 경은 이런 말을 했다. "신학자의 말을 들으면 세상 사람은 모두 죄인이고, 의사의 말을 들으면 세상 사람은 모두 환자이며, 군인의 말을 들으면 세상 사람은 모두 전투원이다." 국가라는 유기체는 그런 편견의 집합체다. 이런 전문가들은 통제되어야 한다. 교사가 교육정책을 수립하는 것이 아니고 검사가 사법정책을 수립하지 않으며 의사가 보건정책을 수립하지 않는다. 정책수립은 해당 분야 전문가가 아니라 행정 관료가 의회와 협력해서 한다. 군인이 국방정책을 수립하는 것은 민주주의 원리에 반하는 것이지만 우리의 경우에는 군인의 편견과 이익에 맞게 국방정책이 굴절된다. 이렇게 되면 군대 안에 머물러 있어야 할 군인의 직업의식이 군대 밖으로 무분별하게 표출되면서 사회와 갈등을 일으키게 된다. 여기에는 어떤 숙명과도 같은 대립점이 있다.

1962년 쿠바 미사일 위기가 진정되고 난 이후 미국 전략폭격사령부(SAC)를 방문한 맥나마라 미국 국방장관에게 사령관인 토머스 파워 장군은 이런 말을 했다. "만일 핵전쟁이 일어나 소련에서 1명 살아남고 미국에서 2명 살아남으면 미국이 이긴 것 아닙니까?" 이 말에 맥나마라는 거의 기절했지만 전면 핵전쟁을 준비하는 파워 장군에게는 그것이 하나도 이상할 것이 없었다. 장군의 관점으로는 세상은 항상 전쟁 중이고, 마지막에 전투원이 살아남는 쪽이 이기는 것이다. 전쟁에서의 승리라는 지상명령 앞에 나머지 변수는 제거된다. 이것이 맥나마라 장관에게는 장군의 지독한 직업적 편견이었고 통제되어야 할 대상이었다.

그러나 한국에서는 그 통제 장치가 명확하지 않은 것이 고질적인 문제다. 국방부가 존재하는 이유는 국민을 대리해 군을 통제하기 위함이다. 그런데 우리의 경우에는 국방부가 군을 대리해 국민을 통제하는 조직이 되고 말았다. 군인이 직접 국방정책을 좌지우지하기 때문이다. 그 근본적인 원인은 군인의 권력과 명예를 향한 욕망이 군대라는 껍질을 벗고 민간 영역으로 범람했기 때문이다. 이 자제되어야 할 욕망을 통제하지 않으면 국가가 불행해진다. 이 점에서 장군이라는 존재는 국가안보에 대한 전문성과 책임성이 강조되는 전문가이기도 하지만 국민의 요구에 맞게 통제되어야 하는 윤리적 존재이기도 하다. 즉 장군은 안보의 주체인 국민의 대리인(Agent)이 되어야 하는데 거꾸로 민간 영역에 간섭하고 부당한 통제력을 행사하는 권력자(Power)가 될 위험도 가지고 있다.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sort
40 자유 [나는 장군이다]장군 승진 목매는 이유..100가지가 달라진다 image sang1342 2014-11-23 18809
39 자유 1루수가 누구야? wonibros 2012-07-27 18030
38 자유 국회는 뭐하고 있는가? imagefile bin107 2012-02-09 17807
37 자유 북한 주민들만 갈수 있는곳? file skybada79 2012-06-19 17533
36 자유 [포토] 잘 지켜보라우~ imagefile 디펜스21 2012-04-27 17467
35 자유 '문민' 국방장관이 절실한 이유 sang1342 2015-12-05 12386
34 자유 방산비리 근본 해결 위해선 '국방장관 문민화' 시급 sang1342 2015-10-30 12358
33 자유 탐욕에 눈먼 '가짜 사나이'들의 부당 거래 image sang1342 2014-11-23 12081
32 자유 영국 첫 여성 육군장관 임명 image sang1342 2015-05-15 12076
31 자유 방사청, 군부 독재 잔재로 매년 세금 수백억원 낭비 image sang1342 2014-12-19 12037
30 자유 장성 감축, 숫자놀음 안 된다 sang1342 2015-11-11 11770
29 자유 디펜스21이 폐간된다는 소식을 들었습니다. 선총통 장공 2015-10-14 11222
28 자유 [나는 장군이다]軍 병력 감축에도 장군은 '자리 지키기' sang1342 2014-11-23 10581
27 자유 강력한 군 개혁이 절실합니다!! file 변화와 혁신 2014-11-23 10564
» 자유 [將軍들의 전쟁] #31. 장군들의 권력욕이 군을 망쳤다 sang1342 2014-11-12 10499
25 자유 "문민통제의 상징"..지구촌 여성 국방장관 시대 열렸다 sang1342 2016-08-03 10438
24 자유 국방개혁 가로막는 최대의 적 운명이다 2014-11-12 10416
23 자유 '63만 군인' 절반으로 줄여야 경쟁력 생긴다 image sang1342 2014-11-12 10375
22 자유 ▶ 효율적인 의료실비보험 암보험 선택 방법 image 눈부신 2016-11-28 10273
21 자유 김종대, 군 출신 국방장관 임명 제한 ‘군피아 방지법’ 발의 sang1342 2016-09-06 10221

기획 특집|전망과 분석

R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