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결과
'사드'에 대해 11건이 검색되었습니다.
-
기획 푸틴의 동방외교와 '극동개발의 국제정치' 6
| 2016. 08. 28
<기획> 푸틴의 동방외교와 ‘극동개발의 국제정치'발문: <푸틴의 동방외교와 극동개발의 ’국제정치’>를 시작하며 1. 푸틴의 동진과 시진핑의 서진 중-러의 전면적전략적협력동반자관계와 유라시아 통합2. 러시아 극동개발...
-
사드 배치가 촉발시킨 중러의 한반도 ‘재균형 전략’
| 2016. 02. 22
2016년 봄 한반도는 걷잡을 수 없는 가파른 대결국면으로 치닫고 있다. 한미는 북한의 핵 실험과 로켓발사에 맞서 제재와 굴복의 양자택일을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유엔에서의 제재 등 한미일이 중국과 러시아의 협조를 얻기 ...
-
북핵의 국제정치와 또 다시 찾아온 전쟁위기
| 2016. 01. 13
대북 강경책을 취했던 부시 행정부의 백악관에서 아시아담당국장을 했던 빅터 차 조지타운대 교수에게 4차 핵실험 이전까지 북한의 모습은 오히려 이례적인 것이었다. 한미일 군사협력을 강조하고 사드(고고도 미사일 요격 시스템) 배치...
-
북한의 잠수함발사 미사일 실험 파장
| 2015. 07. 16
작년 3월 동해에서의 북한의 노동미사일 발사험과 올해 5월 북한이 신포 앞바다에서 실시한 잠수함발사미사일(SLBM) 시험은 한국의 안보주의자들 여론을 정확히 세 개로 쪼개버렸다. 첫째는 북한의 노동미사일 위협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
-
안보장사꾼의 놀이가 된 한반도의 전쟁 이미지
| 2015. 06. 02
조중동 등 보수 성향의 언론 기사를 보면 이제는 국가의 안전이라는 것이 무슨 어린 애들 전쟁 놀이와 같이 희화화 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지난번에는 미국의 사드 요격체계 배치를 안 하면 국가가 망하는 것처럼 요란 떨던...
-
지정학적 딜레마에 처한 박근혜 정부
| 2015. 04. 20
한국에 사드를 배치하는 미국의 선택은 미·중 관계를 재조정하는 강대국 정치에 있어서의 대사건이 될 수 있다. 이미 동일한 맥락의 지정학적 변동을 미국은 유럽에서 겪은 바 있다. 러시아가 크림 반도를 합병한 것은 미국과 나토 세력의...
-
한국은 현상유지와 현상변경이라는 상반된 두 목표를 동시에 해결해야
| 2015. 04. 15
송민순 북한대학원대학교 총장(전 외교통상부 장관)은 자리에 앉자마자 사드 이야기부터 꺼냈다. 그에 따르면 사드를 둘러싼 미·중 갈등은 “거대한 게임”이다. 그는 “미국이 태평양을 내해로 유지하느냐 ‘신형대국관계’를 내세우는 중...
-
디펜스 21+ 2015년 4월
| 2015. 03. 30
-
사드(THAAD) 한국배치라는 '유령논쟁'
| 2014. 11. 13
지난 2013년 3월 30일 노동신문이 공개한 사진. 김정은 제1국방위원장이 긴급 작전회의를 주재하는 장면 가운데 집무실 책상에서 서류에 사인하는 모습과 함께 뒷배경으로 노출된 ‘전략군 미 본토 타격계획.사드(THAAD) 한국배치, 가능한가? ...
-
사드(THAAD)로 통하는 한·미·일 군사정보 양해각서와 전작권
| 2014. 11. 05
김대중 전 대통령은 한국을 ‘도랑에 든 소’에 비유했다. 경제는 중국에, 안보는 미국에 크게 의지하고 있는 한국의 처지를 빗댄 표현이다. 그런데 중국을 완전히 등지게 될지도 모르는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제) 한국 배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