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결과

'일대일로'에 대해 12건이 검색되었습니다.

  • 기획 푸틴의 동방외교와 극동개발의 국제정치 1기획 푸틴의 동방외교와 극동개발의 국제정치 1

    | 2016. 07. 12

    <기획> 푸틴의 동방외교와  ‘극동개발’의 국제정치발문: <푸틴의 동방외교와 극동개발의 ’국제정치’>를 시작하며        1. 푸틴의 동진과 시진핑의 서진  중-러의 전면적전략적협력동반자관계와 유라시아 통합 ...

  • 기획 <푸틴의 동방외교와 극동개발의 ’국제정치’> 발문기획 <푸틴의 동방외교와 극동개발의 ’국제정치’> 발문

    강태호 | 2016. 07. 07

    발문: <푸틴의 동방외교와 극동개발의 ’국제정치’>를 시작하며   <목차> 푸틴의 동방외교와 극동개발의 ’국제정치’   발문: 푸틴의 동방외교와 극동개발의 국제정치를 시작하며     1. 푸틴의 동진과 시진핑의 서진 &n...

  • 겨울 시베리아 2016 동해에서 바이칼까지 테마여행을 가다겨울 시베리아 2016 동해에서 바이칼까지 테마여행을 가다

    강태호 | 2016. 01. 21

     1. 글을 시작하며   어디나 그렇듯 우리가 가는 곳에는 역사가 있습니다. 또 그곳을 일컫는 말(지명)에는 그곳을 살아가던 이들의 숨결이 스며 있습니다. 신화도 그냥 허구가 아닌 먼 옛날의 역사를 담고 있습니다.   <...

  • 2.한-몽골 : 불명확한 미래 꿈 보다 실질적 협력 사업이 필요2.한-몽골 : 불명확한 미래 꿈 보다 실질적 협력 사업이 필요

    | 2015. 12. 23

    유라시아 이니셔티브와 3개의 협력공간 <발문> 지금 유라시아 대륙은 중러의 전면적 협력을 배경으로 거대한 변화의 소용돌이 속에 있다. 중국, 시베리아 극동, 중앙아시아, 유럽을 연계하는 유라시아 교통 물류 및 에너지 협력은 올해 들어 ...

  • 1.왜 유라시아인가-유라시아 이니셔티브의 평가 및 전망1.왜 유라시아인가-유라시아 이니셔티브의 평가 및 전망

    | 2015. 12. 23

    <기획> 유라시아 이니셔티브와 3개의 협력공간 지금 유라시아 대륙은 중러의 전면적 협력을 배경으로 거대한 변화의 소용돌이 속에 있다. 중국, 시베리아 극동, 중앙아시아, 유럽을 연계하는 유라시아 교통 물류 및 에너지 협력은 올해 들어 ...

  • 중국 고속철 라오스를 관통하다.중국 고속철 라오스를 관통하다.

    | 2015. 12. 18

       -400억 위안(7조 3천억원) 투자 라오스내 구간은 418km -중국 남부 라오스 태국 말레이시아 싱가포르를 잇는 범아시아 종단축 건설 -일대일대(실크로드 경제벨트)의 중심축 고속철  -인도 동남아 지역에서 일본 신칸센...

  • 2. 미·중의 뜨거운 전략게임 TPP, AIIB2. 미·중의 뜨거운 전략게임 TPP, AIIB

    | 2015. 12. 11

    아세안경제공동체 출범과 미중일의 패권적 경쟁   2015년 12월 31일 아세안경제공동체(AEC: ASEAN Economic Community)가 출범한다. 이미 예견돼 있는 것이었지만 2007년에 AEC 청사진을 발표한 지 8년 만이다. 경제규모를 보면 2014년 기...

  • 3. 양안관계에 바탕한, 양안관계의 확대를 위한 푸젠성의 일대일로 전략3. 양안관계에 바탕한, 양안관계의 확대를 위한 푸젠성의 일대일로 전략

    강태호 | 2015. 10. 29

     목차 1.두 개의 세미나-환동해의 북방물류와 푸젠성의 양안관계와 일대일로 2. 광역 두만 국제수송로와 환동해 협력을 위한 한중일의 ’올림픽 루트’ 3. 양안관계에 바탕한, 양안관계의 확대를 위한 푸젠성의 일대일로 전략기획  10월12~...

  • 문명과 전략의 용광로 중앙아시아문명과 전략의 용광로 중앙아시아

    | 2015. 07. 24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타지키스탄, 키르기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등 '스탄' 5개국을 일반적으로 중앙아시아로 부른다. 스탄은 '땅(land)'이나 '영토(state)'를 뜻하는 고대 인도·유럽어족 언어에서 기원했다. 여기에 주요 민족의 ...

  • 중국의 금융굴기중국의 금융굴기

    강태호 | 2015. 07. 21

      중국은 부동의 세계 1위 수출국이다. 이미 2009년부터다. 2012년부터는 무역 규모에서도 미국을 누르고 세계 제1위의 무역국가가 됐다. 2012년 미국의 수출입 규모는 3조 8200억 달러인 반면 중국은 3조 8,700억 달러로 앞서기 시작했다. 각...

기획 특집|전망과 분석

R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