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천안함 무관…남쪽 모략극”

2011. 02. 10
조회수 18491 추천수 0

남북 군사실무회담 결렬…정부 “적십자회담 개최 동의”

남북은 9일 판문점 남쪽 구역인 평화의 집에서 고위급 군사회담 의제 등을 논의하는 실무회담을 이틀째 진행했으나, 의제 문제에서 이견을 좁히지 못해 다음 실무회담 일정도 잡지 못하고 헤어졌다. 


20110209 남북군사실무예비회담 김태형.jpg

▲ 남북 군사 실무회담 북한쪽 대표들이 9일 오전 회담장을 향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실무회담 남쪽 수석대표인 문상균 대령(국방부 북한정책과장)은 “북쪽은 오후 회의에서 우리 쪽 입장 변화가 없다고 비난하며 천안함 사건과 연평도 포격에 대한 기존 주장을 되풀이하고 오후 2시50분 일방적으로 군사분계선(MDL)을 넘어갔다”며 “오전 10시에 시작한 회담은 10시50분에 정회됐다가 오후 2시20분에 다시 시작됐으나 속개 10여분 만에 종료됐다”고 밝혔다. 

회담장 철수 직전 북쪽은 “천안함 사건은 철저하게 우리와 무관한 사건”이라며 “미국의 조종하에 남쪽의 대북대결정책을 합리화하기 위한 특대형 모략극”이라고 주장했다고 문 대령이 전했다. 북쪽은 연평도 포격에 대해선 “남쪽이 연평도를 도발의 근원지로 만들었기 때문에 발생”한 것이라고 주장했다고 문 대령은 덧붙였다. 이상철 국방부 군비통제차장(준장)은 “남쪽은 천안함 폭침과 연평도 포격을 먼저 논의해 매듭짓고 이후 다른 문제를 다루자는 쪽인데 북쪽은 모든 의제를 한꺼번에 포괄적으로 이야기하자고 했다”고 회담이 일단 결렬된 배경을 설명했다. 

앞서 정부는 이날 오전 유종하 대한적십자사 총재 이름으로 된 대북 전통문을 보내, 북쪽이 제의한 남북 적십자회담 개최에 “원칙적으로 동의한다”고 밝혔다. 정부는 다만 “회담의 구체적인 일자 및 장소는 남북 고위급 군사회담 이후에 쌍방이 협의해 확정해 나가자”고 제의해, 고위급 군사회담이 열리지 못할 경우 적십자회담 개최도 어려울 전망이다. 

권혁철 손원제 기자 nura@hani.co.kr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 메일



  • “중국 인민해방군, 북한 급변사태 때 대동강 이북 점령”“중국 인민해방군, 북한 급변사태 때 대동강 이북 점령”

    김종대 | 2011. 05. 25

     미국이 북한 급변사태를 가정한 ‘작전계획 5027’을 발전시키고 있는데 대응하여 중국정부 역시 이와 유사한 비상계획을 준비한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정부의 비밀계획은 일명 ‘병아리(小鷄 : 샤우치우아이) 계획’으로 마치 암탉이 병아리를 품듯이...

  • 서북해역, 천안함 뒤 ‘사자-호랑이’ 동시에 풀어놓은 상황서북해역, 천안함 뒤 ‘사자-호랑이’ 동시에 풀어놓은 상황

    2011. 03. 25

    천안함 1주년①-위기 대비능력 저하된 채 남북 무기·전력 ‘집중’막후협상 통로 마련 못하면 2012년에 ‘결정적 위기’ 맞을 수도천안함 사건이 발생한지 3월26일로 1주년이 됐다. 천안함 사건은 아직까지 사건의 실체가 명확히 드러나지 않은 상태지...

  • ‘이등병의 편지’ 부르며 군대 가는 북 청년들‘이등병의 편지’ 부르며 군대 가는 북 청년들

    김보근 | 2011. 01. 25

    제가 2009년 8월 이라는 남북관계 전문 월간지에 기고한 글입니다.남한 청년들이 군대에 가면서 즐겨부르는 를 북한 청년들도 군 입대를 앞둔 환송식에서 즐겨부른다는 내용입니다. 이 노래도 북한에 들어간 많은 남한 가요들처럼 이름은 바뀌었습니...

  • 흡착물 재조사 없이는 정부 천안함 조사 국제법정서 패소흡착물 재조사 없이는 정부 천안함 조사 국제법정서 패소

    김종대 | 2011. 03. 26

    천안함 1주년②…재미 과학자 김광섭 박사 특별기고 합조단의 흡착물 관련 주장은 어뢰설을 스스로 부정 필자는 지난해 7월, 지에 천안함에서 수거된 흡착물에 대한 합조단과 반합조단의 과학자들 간의 논쟁에 대하여 글을 올렸습니다. 에 글을 실은 이...

  • 중앙정보부도 북파공작원 운영했다중앙정보부도 북파공작원 운영했다

    2011. 02. 22

    하태준 HID 대한민국 특수임무수행자ㆍ유족동지회 회장 인터뷰HID. 흔히 북파공작원을 말한다. 정부는 수십 년 동안 이들의 존재를 감추는 데에만 급급했다. 가족에게조차도 이들의 존재감은 없었다. 목숨을 내놓았지만 밝히지 못하는 ‘존재’이자 ...

기획 특집|전망과 분석

R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