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트럼프 출범 뒤 미러 관계-누가 승자가 될 것인가 [1]
| 2017. 03. 20
트럼프는 혼란스럽다. 그래서 예측불허다. 그는 오바마 행정부가 추진했던 많은 국내외 정책들을 반대하고 있는 게 아니라 해체시키고 있다. 외교안보 영역을 보면 극단적인 미국 제일주의, 나토는 중요하지 않다는 동맹 경시 외교, 국방비 ...
-
달라이 라마 넘어 질주하는 '신유라시아 대륙교' 건설
| 2017. 03. 13
몽골 중국 러시아 3자 수송회랑 경제벨트 본격화 2016년 타슈켄트에서의 러시아 중국 몽골 정상들 2014년 9월 중국과 몽골, 러시아의 첫 번째 3자 정상회담(타지키스탄 두샨베)에서 시진핑 국가주석은 중국~몽골~러시아 경제...
-
아시아 식품 수출기지로 탈바꿈하는 러시아 극동
| 2017. 03. 06
러시아가 극동 연해주지역을 한국 일본 나아가 아시아태평양을 향한 농산물 식품 생산의 전진기지로 만든다는 전략을 본격화하고 있다. 엄구호 한양대 교수(러시아)는 러시아가 2020년까지 연간 곡물 수출을 3,500-4,000만t으로 2배 이상 확대...
-
<기획> 2017 북중관계 전망 2. 진화
| 2017. 02. 27
<기획> 2017년 북중관계 전망 발문:트럼프발 파고에 맞서 북중결속 강화 예고1. 북한 껴안기의 지정학-7차 당대회 이후2. 유엔제재와 북중경협의 상호진화3. 위화도 합작투자가 보여주는 것 5번의 북한 핵 실험과 5번의 안보리 제재...
-
<기획> 2017 북중관계 전망-3. 합작
| 2017. 02. 27
<기획> 2017년 북중관계 전망-3. 합작 발문:트럼프발 파고에 맞서 북중결속 강화 예고1. 북한 껴안기의 지정학:7차 당대회 이후2. 유엔의 대북제재와 북중 경협의 상호진화3. 양안기업의 위화도 합작투자가 의미하는 것 중국·대만기업 ...
-
<기획> 2017 북중관계 전망-1.복원
| 2017. 02. 13
<기획> 2017년 북중관계 전망 발문:트럼프발 파고에 맞서 북중결속 강화 예고1. 북한 껴안기의 지정학-7차 당대회 이후2. 유엔제재와 북중경협의 상호진화3. 위화도 합작투자가 보여주는 것 긴잠에서 깨어나는 나진 선봉...
-
<기획> 2017 북중관계 전망- 발문
| 2017. 02. 09
<기획> 2017 북중 관계 전망발문: 트럼프발 파고에 맞서 북중 결속 강화 예고1. 북한 껴안기의 지정학2. 유엔제재와 북중경협의 상호진화3. 양안기업의 위화도 합작투자 전세계를 뒤흔들...
-
쉽게 쓰여지지 않은 책 <전략공간의 국제정치> 조성렬저 서강학술총서
| 2016. 10. 31
조성렬 국제안보전략연구원 책임연구위원. <전략공간의 국제정치>(조성렬 저, 서강대학교 출판부, 2016년 9월)는 ‘쉽게 쓰여진’ 책이 아니다. 저자가 책 제목으로 삼은 ‘전략 공간’이라는 개념은 ‘전통 공간’과 대비되는 개념이다. 전...
-
유라시아 인문기행 2. 울란바타르와 울란우데
| 2016. 08.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