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드(THAAD) 한국배치라는 '유령논쟁'사드(THAAD) 한국배치라는 '유령논쟁'

    김종대 | 2014. 11. 13

    지난 2013년 3월 30일 노동신문이 공개한 사진. 김정은 제1국방위원장이 긴급 작전회의를 주재하는 장면 가운데 집무실 책상에서 서류에 사인하는 모습과 함께 뒷배경으로 노출된 ‘전략군 미 본토 타격계획.사드(THAAD) 한국배치, 가능한가? ...

  • 사드(THAAD)로 통하는 한·미·일 군사정보 양해각서와 전작권사드(THAAD)로 통하는 한·미·일 군사정보 양해각서와 전작권

    2014. 11. 05

        김대중 전 대통령은 한국을 ‘도랑에 든 소’에 비유했다. 경제는 중국에, 안보는 미국에 크게 의지하고 있는 한국의 처지를 빗댄 표현이다. 그런데 중국을 완전히 등지게 될지도 모르는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제) 한국 배치...

  • 사드(THAAD)의 실체와 논란-누구를 위한 것인가사드(THAAD)의 실체와 논란-누구를 위한 것인가 [1]

    2014. 11. 04

      한반도에 배치할 사드(THAAD, Terminal High Altitude Area Defense)는 없다. 재고가 없다는 얘기다. 그런데 물량이 없음에도 최근 ‘사드(THAAD, Terminal High Altitude Area Defense)’의 한반도 배치 문제를 두고 갈등이 빚어...

  • 오바마의 승리와 2013년 한반도오바마의 승리와 2013년 한반도

    김종대 | 2012. 11. 09

    [세상읽기] 오차 범위 안에서 박빙의 차이로 롬니와 접전을 벌이던 오바마가 승기를 잡은 계기는 10월22일 열린 세번째 방송토론이었다. 이날 <시비에스>(CBS) 밥 시퍼의 사회로 진행된 90분 토론은 이란과 리비아, 시리아, 아프간, 러시아, ...

  • 미국 MD 참여를 위한 미사일 사거리 연장미국 MD 참여를 위한 미사일 사거리 연장

    2012. 10. 25

    [한겨레신문 왜냐면]     탄도미사일 사거리를 800㎞로 늘리고 무인항공기의 탑재중량도 세계 최고수준인 글로벌호크급 이상인 2500㎏으로 늘릴 수 있게 ‘한-미 미사일 지침’ 개정이 합의됐다. 그 진짜 의도가 무엇이며 왜 문제인지 살펴본다...

  • ‘유엔사령부’라는 유령의 배회

    김종대 | 2012. 08. 17

    [세상 읽기]2015년 전시작전권의 한국으로의 전환 이후에 대비한 한-미 군사지휘체계에 대한 새로운 논의가 줄을 잇고 있다. 해체하기로 되어 있는 한미연합사령부를 존치시킨다는 미확인 내용이 일부 언론에 보도된 데 이어, 한수 이북에 미2사단 ...

  • ‘가치동맹’과 가치공유의 차이‘가치동맹’과 가치공유의 차이

    2012. 08. 01

     [이종석 칼럼] 요즈음 한-미 관계와 관련하여 이명박 정부와 여권 인사들 사이에 자주 오르내리는 말이 ‘가치동맹’이다. 지난 6월에 한-미 동맹이 안보동맹, 경제동맹을 넘어서 ‘가치동맹’이 되었으며 이를 발전시켜야 한다고 주장한 ...

  • 서울에 온 미국의 ‘안보장사꾼’서울에 온 미국의 ‘안보장사꾼’

    2012. 07. 27

    [세상읽기]유달리 국내 방위산업체들에 무기 수출을 독려하는 이명박 정부에 미국은 의심의 눈초리를 거둔 적이 없다. 미국 정부는 국내 방산업체의 명품 무기로 알려진 청상어·홍상어 어뢰는 미국제 하푼 대함미사일의 기술을 베낀 것이고, 신궁 ...

  • 주한미군 ‘특전사 평양 투입’ 발언 후폭풍주한미군 ‘특전사 평양 투입’ 발언 후폭풍

    김수빈 | 2012. 06. 28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미국 대북특사 특별기 방북’에 청와대 혼선‘미국 대북특사 특별기 방북’에 청와대 혼선

    김종대 | 2012. 05. 24

    미국대사에 확인 과정서 비행기 영공 6번 선회외교안보사령탑 머리 둘…사전통보 공유 안된듯       북한의 인공위성 발사가 예고되어 한반도에 군사적 긴장이 고조되어 있던 4월 7일 아침 6시 40분. 미국 정부의 대북 특사...

기획 특집|전망과 분석

R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