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찰된 군단급 UAV 사업, 노대래식 개혁의 위험성유찰된 군단급 UAV 사업, 노대래식 개혁의 위험성

    김종대 | 2012. 07. 27

    업체 불참으로 개발사업 유찰육군의 차기 군단 무인정찰기(UAV) 개발 사업이 업체의 불참으로 유찰되었다. 애초 정부는 국방과학연구소(ADD) 주관으로 2017년까지 966억원을 투입하여 개발을 완료하고 이후 3378억을 추가 투입하여 양산하려던 계획이었...

  • 조선일보, 제2연평해전을 어떻게 왜곡하였나?조선일보, 제2연평해전을 어떻게 왜곡하였나?

    김종대 | 2012. 07. 27

     역사가 마구 왜곡되고 있다. 제2연평해전 10주기를 맞아 조선일보가 연일 쏟아내는 당시 상황에 대한 묘사는 매우 단편적이고 선택된 사실만을 부각시킨 확실한 역사 왜곡이다. “과거 햇볕정책과 그 담당자들을 종북좌파로 처단하라”는 정치적 여...

  • 서울에 온 미국의 ‘안보장사꾼’서울에 온 미국의 ‘안보장사꾼’

    2012. 07. 27

    [세상읽기]유달리 국내 방위산업체들에 무기 수출을 독려하는 이명박 정부에 미국은 의심의 눈초리를 거둔 적이 없다. 미국 정부는 국내 방산업체의 명품 무기로 알려진 청상어·홍상어 어뢰는 미국제 하푼 대함미사일의 기술을 베낀 것이고, 신궁 ...

  • 중국 헬기부대 대문 열고중국 헬기부대 대문 열고

    2012. 07. 26

    정예부대 외국언론에 첫 공개남중국해 영유권 분쟁중 눈길중국 인민해방군이 사상 처음으로 수도 베이징 부근에 주둔하고 있는 정예 헬기부대를 외국 언론에 공개했다.(사진)중국 관영 <차이나데일리>는 중국 인민해방군 육군이 24일 중국의 군사...

  • 미 ‘랩터’ 다시 하늘로미 ‘랩터’ 다시 하늘로

    권태호 | 2012. 07. 26

    국방부 “조종사 산소부족 해결”일 오키나와 기지에 배치 승인기기 결함으로 비행제한 조치를 받았던 미국의 최신예 전투기 F-22 랩터(사진)가 다시 정상비행에 들어가게 됐다.리언 파네타 미 국방장관은 F-22 랩터의 비행제한을 해제했다고 조지 리...

  • [싱크탱크 시각] ‘주체적 탈북자’로 살아남기[싱크탱크 시각] ‘주체적 탈북자’로 살아남기

    김보근 | 2012. 07. 26

    ‘(김일성, 김정일) 동상을 까부시는 모임’(동까모) 소속이었다는 전영철(52)씨의 기자회견 모습은 슬펐다. 그는 지난 7월19일 평양 인민문화궁전에서 약 40분에 걸쳐 차분한 목소리로 왜 김일성 주석의 생일날인 4월15일에 북한 내 동상을 파괴하려 ...

  • 해상작전헬기 도입 ‘닭 쫓던 개’ 신세 될라해상작전헬기 도입 ‘닭 쫓던 개’ 신세 될라

    김동규 | 2012. 07. 24

    미국 1조2천 억 책정…방위청 예상비 2배 넘어도입 시기도 3년 이상 걸려 ‘빠른 전력화’ 차질방위사업청이 5,538억 원의 예산을 들여 해외로부터 8대를 도입하려는 해상작전헬기 사업이 파행으로 치달을 조짐을 보이고 있다. 미 정부가 자국산 헬...

  • 이스라엘 정치판을 뒤흔들고 있는 병역법 논란이스라엘 정치판을 뒤흔들고 있는 병역법 논란

    김수빈 | 2012. 07. 23

    병역문제는 우리나라에서만 화약고가 아니다. 이스라엘에서는 병역법 문제로 시민들의 시위가 잇따르고 원내 제1당이 연정을 탈퇴하는 등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다. 우리가 익히 들어온 '병역 모범 국가' 이스라엘은 허구에 가깝고, 오히려 병역문제...

  • 주방용 소독제가 병사 생활관 의료용 살균제로?주방용 소독제가 병사 생활관 의료용 살균제로?

    김동규 | 2012. 07. 17

    군 뇌수막염 등 방역 위해 납품 받은 제품 효능 의문식약청 “의약외품 아니다”…제약관계자도 “과대선전”육군이 신병 생활관의 생활용품에 사용하기 위해 들여온 의료용 소독제가 실은 식당에서 식기류를 소독할 때 쓰는 주방용 소독제로 드러나 ...

  • 선군정치서 선당정치로 가나

    2012. 07. 17

    노동당 정치국 회의서 ‘경질’ 결정군 통제위해 당 기능 강화 분석이번 리영호 총참모장의 경질이 노동당 중앙위원회 정치국 회의에서 결정됐다는 점은 권력기구의 변동과 관련해 시사하는 바가 크다. 북한 권력 중심이 군에서 당으로 옮겨지는 징...

기획 특집|전망과 분석

R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