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기 전투기 사업 다음 정권 넘길듯
방위사업청장 “기종선정 연기 가능”
8조3000억원의 예산이 소요돼 창군 이래 최대 규모인 차기 전투기(FX) 사업의 기종 선정이 차기 정권으로 넘어갈 것으로 보인다.사업 책임자인 노대래 방위사업청장은 20일 <연합뉴스> 인터뷰에서 “오는 10월 말까지 결정하겠다고 한 것은 목표일 뿐 시한이 아니다”며 “결정시기는 얼마든지 연기할 수 있다”고 말했다. 노 청장은 “일부 업체의 서류 미비로 재공모를 하게 된 것만으로도 10월 말은 넘어갈 수밖에 없게 됐다”며 “막판에도 1차 협상, 2차 협상 등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고 평가 과정에서도 예상치 못한 일들이 발생할 수밖에 없어 10월 말 시한은 큰 의미가 없다”고 말했다. 12월19일 대선이 끝난 뒤 새정권 인수위가 들어서고 내년 2월25일 이명박 대통령 임기가 종료되는 정치 일정을 고려하면 사업 선정을 10월 말 이후로 연기한다는 것은 사실상 차기 정부로 넘긴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노 청장은 또 “파는 쪽은 우리가 정한 목표시한을 구속적 의무기간으로 느껴야겠지만 사는 쪽(우리 정부)은 굳이 시간에 구애받을 필요가 없다”고 덧붙였다. 정권 말에 무기도입 사업을 추진하는 것이 무리한 것 아니냐는 선에 대해서는 “검증할 것은 정확히 검증하고 국익을 도모하는 데 가장 좋은 시점에서 결정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 미국 록히드 마틴의 ‘F-35A’
노 청장은 F-35A 특혜논란(<한겨레> 14일치 1·8면)에 대해선 “공군에서 F-35A(록히드마틴)를 선호했던 것은 사실이지만 경쟁입찰을 해야 한다는 쪽으로 결론을 내렸다”며 “F-35A 사전 내정설은 전혀 근거 없는 얘기”라고 말했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청와대와 정부의 입장이 바뀐 게 없다. 청와대가 서둘러라, 넘겨라 이렇게 한 적 없다”며 “가격이 맞고 우리 방위 필요에 맞는 성능이 나오면 목표 시점 안에 하는 것이고 그게 나오지 않으면 연말, 연초, 다음 정권으로도 넘어갈 수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하어영 기자
관련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