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특수부대 20만명…군인 6명중 1명꼴”

2011. 01. 17
조회수 13796 추천수 0

국방부 백서 “2년전보다 2만명↑”

RFA “북, 서해5도 점령 가상훈련”

 

국방부는 30일 펴낸 <2010 국방백서>에서 북한의 특수전 병력을 20만명으로 평가했다. 북한 특수전 병력은 <2006년 국방백서>에서는 12만여명, <2008년 국방백서>에서는 18만여명으로 평가됐다. 국방부 추정대로라면, 최근 2년마다 2만~6만명씩 늘어난 셈이다. 북한군 병력규모는 육군 102만여명, 공군 11만여명, 해군 6만여명 등 모두 119만명으로 <2008 국방백서>와 비슷했다. 북한군 6명에 1명꼴로 특수부대원이라는 계산이 나온다.


국방부는 이날 북한이 경보병사단을 전방군단에 편성했고, 전방사단에 경보병연대를 추가 편성하는 등 특수전 능력을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있다며 이렇게 밝혔다. 북한 특수전 병력은 유사시 땅굴, AN-2기 등을 이용해 우리 후방 지역으로 침투해 주요 목표 타격, 요인 암살, 후방 교란 등을 수행할 것이라고 국방부는 내다봤다.

<2010 국방백서>는 북한 전차 규모를 <2006년 국방백서>의 3900대에서 200대 증가한 4100대로 평가했다. 국방부 당국자는 “늘어난 전차 200대는 T-72 전차를 모방해 실전배치된 신형 전차(폭풍호)와 2008년 이후 북한 후방부대에서 추가로 발견된 구형 전차를 합산·평가한 것”이라며 “후방에 있는 전차들은 대체로 T-34형 정도의 구형 전차”라고 밝혔다. T-34는 제2차 세계대전 때 소련군이 사용했으며 한국전쟁 때 북한군의 주력 전차였다.

한편 북한의 인민군 해군사령부 소속 29해상저격여단과 인민무력부 산하 정찰총국이 12월 중순부터 남포 인근 초도 앞바다에서 ‘서해5도 점령’ 가상훈련을 벌이고 있다고 미국 자유아시아방송(RFA)이 ‘북한군 사정에 밝은 중국 소식통’의 말을 따서 30일 보도했다. 이 대북 소식통은 “최근 평양에 갔을 때 북한군 관계자한테 직접 이런 얘기를 들었다”며 이렇게 말했다고 방송은 전했다. 권혁철 기자 nura@hani.co.kr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 메일



  • “중국 인민해방군, 북한 급변사태 때 대동강 이북 점령”“중국 인민해방군, 북한 급변사태 때 대동강 이북 점령”

    김종대 | 2011. 05. 25

     미국이 북한 급변사태를 가정한 ‘작전계획 5027’을 발전시키고 있는데 대응하여 중국정부 역시 이와 유사한 비상계획을 준비한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정부의 비밀계획은 일명 ‘병아리(小鷄 : 샤우치우아이) 계획’으로 마치 암탉이 병아리를 품듯이...

  • 서북해역, 천안함 뒤 ‘사자-호랑이’ 동시에 풀어놓은 상황서북해역, 천안함 뒤 ‘사자-호랑이’ 동시에 풀어놓은 상황

    2011. 03. 25

    천안함 1주년①-위기 대비능력 저하된 채 남북 무기·전력 ‘집중’막후협상 통로 마련 못하면 2012년에 ‘결정적 위기’ 맞을 수도천안함 사건이 발생한지 3월26일로 1주년이 됐다. 천안함 사건은 아직까지 사건의 실체가 명확히 드러나지 않은 상태지...

  • ‘이등병의 편지’ 부르며 군대 가는 북 청년들‘이등병의 편지’ 부르며 군대 가는 북 청년들

    김보근 | 2011. 01. 25

    제가 2009년 8월 이라는 남북관계 전문 월간지에 기고한 글입니다.남한 청년들이 군대에 가면서 즐겨부르는 를 북한 청년들도 군 입대를 앞둔 환송식에서 즐겨부른다는 내용입니다. 이 노래도 북한에 들어간 많은 남한 가요들처럼 이름은 바뀌었습니...

  • 흡착물 재조사 없이는 정부 천안함 조사 국제법정서 패소흡착물 재조사 없이는 정부 천안함 조사 국제법정서 패소

    김종대 | 2011. 03. 26

    천안함 1주년②…재미 과학자 김광섭 박사 특별기고 합조단의 흡착물 관련 주장은 어뢰설을 스스로 부정 필자는 지난해 7월, 지에 천안함에서 수거된 흡착물에 대한 합조단과 반합조단의 과학자들 간의 논쟁에 대하여 글을 올렸습니다. 에 글을 실은 이...

  • 중앙정보부도 북파공작원 운영했다중앙정보부도 북파공작원 운영했다

    2011. 02. 22

    하태준 HID 대한민국 특수임무수행자ㆍ유족동지회 회장 인터뷰HID. 흔히 북파공작원을 말한다. 정부는 수십 년 동안 이들의 존재를 감추는 데에만 급급했다. 가족에게조차도 이들의 존재감은 없었다. 목숨을 내놓았지만 밝히지 못하는 ‘존재’이자 ...

기획 특집|전망과 분석

R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