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니투데이


1962년 10월 소련이 미국의 바로 턱밑인 쿠바 해안에 중장거리 핵미사일을 배치하면서 자칫 핵전쟁이 벌어질 뻔 했다. 미 군부 강경파가 집요하게 쿠바 폭격과 침공을 관철하려 했지만, 케네디 대통령은 평화와 국익을 앞세워 3차 세계대전을 막았다. 쿠바 미사일 사태다. 영화 ‘Thirteen Days’(D-13)는 긴장감 넘치는 당시 상황을 실감 나게 재현했다. 냉전 시대 최대의 위기였지만, ‘가장 비싼 외교가 가장 싼 전쟁보다 남는 장사’라는 교훈을 여실히 보여준 사건이었다.


당시 국방장관은 로버트 맥나마라다. 포드자동차 사장이자 정치인 출신이었던 맥나마라는 군부의 돌발적 행동을 견제하기 위해 상황실을 지키며 통제했다. 만일 해군 작전을 통제하지 못했다면 실제 핵전쟁이 벌어질 수도 있었다. 맥나마라는 1961년 발탁돼 존슨 대통령 시기인 1968년까지 미국 역사상 가장 오래 국방장관직에 머물렀다. 재임 중 베트남전에 발목을 잡혀 ‘실패한 장관’이란 평가도 받았지만, 그가 도입한 ‘계획예산제도’는 미국은 물론 전 세계 국방 예산 편성의 모범이 됐다.


세계 최고 군사 강국임에도 미국은 이처럼 문민통제를 중요히 여긴다. 국방장관은 민간인을 임명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민주주의 힘의 원천이 여기에 있다고 믿는다. 200년 동안 쿠테타 한 번 없었다. 1947년 국가안보법 제정 후 26명의 국방장관이 임명됐지만, 이중 장성 출신은 3대 조지 마셜과 26대 제임스 메티스뿐이다. 딕 체니 등 우리에 익숙했던 국방장관들 모두 정치인이나 교수, 사업가 출신이었다. 마셜이나 트럼프가 임명한 메티스도 퇴역 후 7년 이내 국방장관에 임명될 수 없다는 국방부 재조직법에 따라 모두 상원의 ‘특별 허가’를 받아야 했다.


미국뿐이 아니다. 유럽과 중남미 등 대부분 국가는 ‘국방 문민화’가 정착됐다. 군인이 국방정책을 수립하는 곳은 거의 없다. 심지어 독일, 스페인, 노르웨이, 일본 등에선 여성 국방장관이 나왔다.


쿠바 미사일 사태에서 보듯 군은 합법적으로 선출된 권력으로부터 통제받아야 할 집단이다. 위기의 상황에선 더욱 그렇다. 군의 속성은 전쟁에서 이기는 거다. 이에 따른 국가와 국민의 피해는 부차적인 문제다. 특히 우리의 국방부는 국민을 대리한 장관의 통제를 받지 않았다. 오히려 군을 대리해 국민을 통제해 왔다. 국군사이버사령부와 기무사령부가 대표적이다. 특히 기무사는 한국 현대사에서 무소불위의 권력을 행사하며 민주주의·인권과는 대척점에 서 있었다. ‘계엄 문건’ 사태는 그 연장선이다.


2004년 7월 참여정부에서 벌어졌던 합동참모본부의 연평도 교전 허위보고도 있었다. 단지 진보 정권이어서 군과 긴장 관계에 놓인 걸까. 이명박 정부도 천안함과 연평도 사건을 겪으며 군에 대한 불신이 상당했다. 군은 ‘우리만이 안보를 안다’고 여긴다. 강력한 문민통제가 이뤄지지 않으면 이런 군과 정치권력의 대립은 보수와 진보 구분 없이 반복될 수밖에 없다.


6일 기무사를 폐지하고 ‘군사안보지원사령부’를 신설하는 안이 입법 예고됐다. 하지만 기무사를 포함한 국방 개혁은 조직 개편만으로 달성될 수 없다. 역대 정권 모두 수차례 국방 개혁을 시도했지만, 군의 정치 개입은 여전하다. 강력한 문민통제가 필요하다. 근본 해법 없이는 정치상황에 따라 언제든 제2의 기무사가 출현할 수 있다.


물론 우리도 민간 출신 국방장관이 없던 것은 아니다. 대한민국 정부 수립 후 신성모, 이기붕 등 5명이 있었다. 하지만 국군이 창설된 지 얼마 안 돼 마땅한 군 출신이 없어 임명됐을 뿐 주요 선진국처럼 군사·안보에 정통한 이들은 아니었다.


상황은 달라졌다. 세계 10대 경제 대국에 성숙한 민주 역량을 보여준 국민들은 스스로의 합의와 협력으로 세상을 바꿨다. 좁은 인재풀 타령은 그만하자. 진영 논리를 떠나 방산, 안보뿐 아니라 군 장악력과 이해도가 높은 민간 전문가를 찾으면 된다. 전역한 지 하루밖에 안 된 군인이 공무원으로 옷을 바꿔 입고 국방장관에 임명되는 악순환은 그만둘 때도 됐다. 미국처럼 법으로 규정하는 것도 생각해 볼만하다. 이젠 국방 문민화를 위해 민간인 출신 장관 임명을 적극 고려해야 한다.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104 자유 [정동칼럼] 모병제 논란, 국방개혁이 먼저다 잘될거야 2021-04-30 3231
103 자유 국방부 직할부대, 해체로 예산 줄이고 조직 간소화해야 image 운명이다 2021-01-15 6488
102 자유 '또' 장성 감축에 소극적인 2021년 국방예산 운명이다 2020-12-11 4008
101 자유 '전문 경영인' 국방장관이 필요하다 운명이다 2020-07-24 4771
100 자유 군 문민화, 문민 국방장관 임명부터 시작해야 운명이다 2019-12-28 4291
99 자유 獨·佛·英·이탈리아·스페인 유럽5국 국방장관 '여성천하' 운명이다 2019-05-05 4479
98 자유 군무원법 제도개혁이 시급하다 2011-07-15 19 2019-03-10 5776
97 자유 국방부에 ★ 넘쳐나는 이유 있었네 변화와 혁신 2018-12-27 5466
» 자유 국방장관과 문민통제 변화와 혁신 2018-08-07 6252
95 자유 군무원법 개혁과 국방공무원제 도입이 필요합니다! 운명이다 2018-04-22 7845
94 자유 갓 전역한 군인, 국방부 고위직 진출 제한하는 법 추진된다! sang1342 2018-01-16 6936
93 자유 [발언대] 부사관 증원, '작지만 강한 군대'에 역행 sang1342 2017-07-29 8169
92 자유 미국의 국방성과 각군성 sang1342 2017-07-03 8208
91 자유 사드 이슈로 조명된 국방문민화의 필요성 sang1342 2017-06-22 7770
90 자유 장군 60여명 줄인다더니..고작 8명 감축 sang1342 2017-01-27 9073
89 자유 ▶ 효율적인 의료실비보험 암보험 선택 방법 image 눈부신 2016-11-28 10076
88 자유 김종대, 군 출신 국방장관 임명 제한 ‘군피아 방지법’ 발의 sang1342 2016-09-06 10081
87 자유 "문민통제의 상징"..지구촌 여성 국방장관 시대 열렸다 sang1342 2016-08-03 10273
86 자유 '문민' 국방장관이 절실한 이유 sang1342 2015-12-05 12214
85 자유 장성 감축, 숫자놀음 안 된다 sang1342 2015-11-11 11616

기획 특집|전망과 분석

RSS